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심방세동2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의 치료 심방세동의 치료방침은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결정해야 한다. 첫째는 항응고요법의 결정이고, 둘째는 동율동 전환 신도 혹은 심박수 조절이다. 최근에는 항응고요법을 쓸 수 없거나, 효과가 없는 경우에 대부분의 혈전이 발생하는 좌심방이를 덮어버리는 폐색술을 고려하기도 한다. 항응고 요법의 결정 심방세동에 동반될 수 있는 질환 중, 혈전의 위험을 가장 높이는 것이 승모판 협착증과 비후성 심근증이다. 이 2가지가 심방세동에 합병되어 있으면 항응고요법이 필요하다. 기계판막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 심방세동 때문이 아니더라도 항응고요법이 필요하다. 그 외의 경우, 혈전 발생의 위험도를 CHA2 DSs-VASc score로 평가한다. 우리나라, 미국, 유럽 진료지침 모두 CHA2DSs-VASc score 2점 이상.. 2024. 3. 2.
수술 환자에서 NOACs 대신 warfarin을 복용해야 하는 경우는? Non-vitamin K oral anticoagulants(NOACs) Non-vitamin K oral anticoagulants(NOACs)는 nonvalvular atrial fibrillation(AF) 환자에서 thromboembolism(혈전색전증)의 예방과, deep vein thrombosis(DVT, 심부정맥 혈전증)와 pulmonary embolism(PE, 폐색전증)의 치료나 예방을 위한 목적을 위해 복용하며, US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으로부터 승인받은 약제다. Direct thrombin inhibitor(DTI)는 thrombin(univalnet inhibitor)의 active site에 결합함으로써, fibrinogen이 fibrin으.. 2021. 11.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