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채자본비율2 에너지 섹터에 투자할 때 참고할 사항들 에너지 섹터의 석유 관련 기업들에 대해 정치적인 문제로 변동성이 크고, 탄소중립 등의 환경 이슈로 전망을 흐리게 보던 시절이 있었지만 신재생에너지는 석유의 대체제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사용처가 겹치는 곳도 있지만 크게 봐서는 서로 다른 곳에서 사용되고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한다고 봤을 때 수요는 여전히 큽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유가와 에너지 산업에 당연히 주목해야 하며 에너지 섹터의 기업들이 어떠한 특징을 갖고 사업을 해가는가를 알아가는 것은 매력이 있는 공부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모닝스타 성공투자 5원칙(팻 도시 저. 지승룡, 조영로, 조성숙 역. 이콘)'에서 에너지 섹터의 경제적 해자로서 규모의 경제가 가지는 의미와, 에너지 기업에 투자할 때 주목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2024. 2. 16. 산업재(industrial + basic materials) sector 분석 - 산업재 부문은 두 집단으로 나눌 수 있다. 1. Basic materials (기본재): 일반적인 강철, 알루미늄, 화학물질 2. Value-added goods (부가가치재): 전기 장비, 중장비, 특수 화학제품 - 두 부문의 주요 차이점 Basic materials는 기업이 자사 제품의 가격에 끼칠 수 있는 영향력은 전무하거나 아주 미미한 수준인데 반해 Value-added goods는 전문성이 높고 고객의 사업 개선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제품 가격에 프리미엄(부가된 가치)을 붙여서 형식으로 그 수입을 나눠가질 수 있다. - 산업재 부분의 전반적인 비즈니스 모델은 단순하다. 산업재 기업이 원재료와 시설을 구입하면 소비자 제품 기업이 이들이 생산한 산출물과 기계를 이용하여 제품을 만든다.. 2022. 9. 1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