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기사 궁금증 300문 300답3

한국은행의 통화량 조절 방법 한국은행은 직접적인 방법과 간접적인 방법으로 통화량을 조절한다. 직접 조절 수단은 행정적으로 은행 여수신금리 규제와 대출규모 통제가 있다. 그러나 은행의 자율성을 침해한다는 이유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좀 더 부드러운 정책인 간접조절 수단으로는 지급준비율 정책, 재할인율 정책, 공개시장 정책 등이 있다. 1. 직접조절 수단첫째, 여수신 금리 규제시중은행의 예금이자율, 대출이자율을 한국은행이 직접 정하거나 상한선을 설정해 주는 방식이다. 둘째, 대출 규모 통제은행의 자금 대출 한도를 정해주고 그 범위 내에서만 대출해 주도록 하는 제도이다.   2. 간접 조절 수단첫째, 지급준비율 정책지급 준비금이란, 예금자가 요구할 때를 대비해 언제든지 인출해줄 수 있도록 중앙은행에 예치해 두는 돈을 말한다. 예금액에 .. 2024. 12. 4.
중앙은행의 통화정책(monetary policy) 국가 차원에서 경기에 대응하는 정책을 경기정책(business cycle policy)이라고 합니다. 경기정책은 경기가 급변하지 않고 늘 좋은 상태로 유지하는 데 목적을 두는데, 경기가 확대 국면을 지나 과열됐다가 급강하하는 패턴을 밟지 않게 예방하고, 이미 침체한 경기는 되살리려고 합니다. 이를 위해 정부가 구사하는 여러 가지 정책 수단 중 대표 격이 재정정책(fiscal policy)과 통화정책(monetary policy)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경제기사 궁금증 300문 300답(곽해선 저. 혜다)'에 설명하는 통화정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통화정책의 효과 현대 국가에서는 보통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을 폅니다. 통화정책의 본래 목적은 경기 대응이 아니지만 재정정책처럼 경기정책 용도로 쓸 수 있습니다... 2024. 1. 4.
인플레이션이 투자자에게 어떤 기회를 줄까 돈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인플레이션은 국가경제와 국민의 실제 경제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데, 지금 우리는 바로 그 시기를 지나고 있습니다. 교과서에서 배운 내용을 제대로 실습하고 있는 것이죠. 주변에서나 각종 매스컴에서 인플레이션의 후유증에 대한 분위기를 쉽게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이런 어려운 시기가 부자에게는 기회가 된다고 합니다. 좋은 자산을 싸게 살 수 있는 할인 찬스라는 말이지요. 이번 글에서는 '경제기사 궁금증 300문 300답(곽해선 저. 혜다)'에서 인플레이션이 왜 서민에게는 적이고 부자에게는 기회가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서민에게 적, 부자에게는 기회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일정 현금 수입으로 생활하는 가계는 살림살이가 빡빡해집니다. 집세, 가겟세, 자녀 교육비.. 2024. 1.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