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에 나온 Surviving Sepsis Campaign을 번역했습니다. Sepsis(패혈증) 환자의 치료는 빠른 인지와 빠르고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은 기초로 환자 평가와 치료에 분명 유용하지만, 아직 결론이 나지 않은 연구도 있고 그 결과도 적용하는 데 환자마다 차이가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합니다. 내용이 많아 글을 나눠서 올리겠습니다.
Screening for patients with sepsis and septic shock
1. 병원 및 의료 기관의 경우 급성 질환, 고위험군 환자에 대한 패혈증 선별 검사 및 치료를 위한 표준 시행 절차를 포함한 패혈증 스크리닝 등의 performance improvement program을 이용하는 것을 권고한다.
Strong recommendation, moderate quality of evidence for screening
Strong recommendation, very low-quality evidence for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2. 패혈증이나 패혈성 쇼크에 대한 선별도구로 qSOFA를 단독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지 않는다.
Strong recommendation, moderate-quality evidence
3. 패혈증이 의심되는 성인 환자에서 혈중 lactate(젖산)을 측정할 것을 제안한다.
Weak recommendation, low-quality evidence
Initial resuscitation
4. 패혈증과 패혈성 쇼크는 내과적 응급 상황으로, 치료와 소생술(resuscitation)을 즉각 시작할 것을 권고한다.
Best Practice Statement
5. 패혈증으로 인한 저관류(hypoperfusion) 혹은 패혈성 쇼크 환자에서 소생술 첫 3시간 이내에 적어도 30 mL/kg의 crystalloid fluid를 정맥 투여할 것을 제안한다.
Weak recommendation, low-quality evidence
6. 패혈증 혹은 패혈성 쇼크 성인 환자에서 수액 소생술을 가이드하기 위해 physical examination이나 static parameters를 단독 이용하기보다는 dynamic measure를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Weak recommendation, very low-quality evidence
Remarks
Dynamic parameters란 stroke volume(SV), stroke volume variation(SVV), pulse pressure variation(PPV), 심초음파 등을 이용해서 passive leg raise나 fluid bolus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7. 패혈증 혹은 패혈성 쇼크 성인 환자에서 혈중 lactate 수치가 상승된 경우, 혈중 lactate의 감소 여부를 소생술에 대한 가이드로 참고할 것을 제안한다.
Weak recommendation, low-quality evidence
Remarks
소생술 초기에 혈중 lactate 수치의 해석은 임상적인 상황과 혈중 lactate 상승의 다른 원인을 함께 고려해서 해야 한다.
8. 패혈성 쇼크 성인 환자에서, 관류(perfusion)를 측정하는 다른 검사들과 함께 capillary refill time을 소생술을 가이드하는 데 참고할 것을 제안한다.
Weak recommendation, low-quality evidence
Mean arterial pressure
9. 패혈성 쇼크 성인 환자에서 vasopressor(승압제)를 사용할 때, 초기 목표 mean arterial pressure(MAP, 평균 동맥압)을 65 mmHg 이상으로 할 것을 권고한다.
Strong recommendation, moderate-quality evidence
Admission to intensive care
10. 중환자실 집중 치료가 필요한 패혈증 혹은 패혈성 쇼크 성인 환자는 6시간 안에 입실해서 치료할 것을 제안한다.
Weak recommendation, low-quality evidence
Infection
11. 패혈증이나 패혈성 쇼크가 의심되지만 확진은 되지 않은 성인 환자의 경우, 연속적으로 재평가 및 다른 진단 여부를 평가해야 하며, 만약 감염 외의 다른 원인이 밝혀지거나 강하게 의심되는 경우 경험적 항생제(empiric antibicrobials)를 중단할 것을 권고한다.
Best Practice statement
Time to antibiotics
12. 패혈성 쇼크 가능성이 있거나 패혈증일 가능성이 높은 성인 환자의 경우, 상황을 인지한 지 1 시간 이내에 항생제를 투여할 것을 권고한다.
Strong recommendation, low quality of evidence (Septic shock)
Strong recommendation, very low quality of evidence (Sepsis without shock)
13. 패혈성 쇼크 없이 패혈증 가능성이 있는 성인 환자에서, 급성 질환의 원인이 감염성인지 아니면 비감염성인지 빠르게 평가할 것을 권고한다.
Best Practice Statement
Remarks
빠른 평가(rapid assessment)란, 병력 청취와 임상적 검사, 급성 질환 감염성 혹은 비감염성 원인에 대한 검사뿐만 아니라, 패혈증과 유사한 양상인 경우 급성 질환에 대한 빠른 치료를 시행하는 것을 말한다. 가능한 한 위의 과정은 발병의 감염 원인 가능성 여부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증상 발현 후 3시간 이내에 완료되어야 하며, 패혈증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적절한 항생제 투여를 시작해야 한다.
14. 패혈성 쇼크 없이 패혈증 가능성이 있는 성인 환자에서, 빠른 평가가 시행돼야 하며 만약 감염이 우려되는 경우 패혈증이 인지된 지 3시간 이내에 항생제를 투여할 것을 제안한다.
Weak recommendation, very low quality of evidence
15. 패혈성 쇼크가 없으며 감염 가능성이 없는 환자에서는, 환자 상태를 밀접하게 모니터링을 하면서도 항생제 사용은 보류할 것을 제안한다.
Weak recommendation, very low quality of evidenc
Biomarkers to start antibiotics
16. 패혈증이나 패혈성 쇼크가 의심되는 성인 환자에서, procalcitonin 수치로 항생제 치료 시작 여부를 결정하지 말 것을 제안한다.
Weak recommendation, very low quality of evidence
2023.11.05 - [의학] - Procalcitonin 검사의 활용
Procalcitonin 검사의 활용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와 항생제 치료 중인 환자에서 procalcitonin(프로칼시토닌) 검사는 이제 진단과 치료의 한 부분이 되었습니다. 환자의 임상증상이 가장 중요하지만 procalcitonin과 같은 biomarker
blueorbit.tistory.com
Antimicrobial choice
17. Methicillin resistant staph aureus (MRSA) 위험이 높은 패혈증 혹은 패혈성 쇼크 성인 환자에서, MRSA를 커버하는 경험적 항생제를 투여할 것을 권고한다.
Best Practice statement
18. Methicillin resistant staph aureus (MRSA) 위험이 낮은 패혈증 혹은 패혈성 쇼크 성인 환자에서, MRSA를 커버하는 경험적 항생제보다는 커버하지 않는 항생제를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Weak recommendation, low quality of evidence
19. Multidrug resistant(MDR) organisms(다제 내성균) 위험이 높은 패혈증 혹은 패혈성 쇼크 환자에서 그람 음성균을 커버하는 항생제를 단독 투여하기보다는 병용 요법을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
Weak recommendation, very low quality of evidence
20. Multidrug resistant(MDR) organisms(다제 내성균) 위험이 낮은 패혈증 혹은 패혈성 쇼크 환자에서는 그람 음성균을 커버하는 항생제 단독 요법을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
Weak recommendation, very low quality of evidence
21. 패혈증 혹은 패혈성 쇼크 성인 환자에서 원인균과 감수성이 확인된다면, 그람 음성균에 대한 항생제 병용 요법을 중단할 것을(즉, 단독 요법으로 바꿀 것을) 제안한다.
Weak recommendation, very low quality of evidence
Antifungal therapy
22. 진균 감염 위험이 높은 패혈증 혹은 패혈성 쇼크 성인 환자에서 경험적 항진균 요법을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
Weak recommendation, low quality of evidence
23. 진균 감염 위험이 낮은 패혈증 혹은 패혈성 쇼크 성인 환자의 경우 경험적 항진균 요법을 시행하지 말 것을 제안한다.
Weak recommendation, low quality of evidence
Antiviral therapy
24. 본 가이드라인에서는 항바이러스제 치료에 대한 권고 사항이 없다.
Delivery of antibiotics
25. 패혈증 혹은 패혈성 쇼크 성인 환자에서 베타 락탐 항생제를 주입하는 경우 초기 bolus 투여 후 maintenance 용법으로 conventional bolus infusion보다는 prolonged infusion으로 주입할 것을 제안한다.
Weak recommendation, moderate quality of evidence
2024.02.17 - [의학] - 기계 호흡 연관 폐렴 환자에서 항생제 선택
기계 호흡 연관 폐렴 환자에서 항생제 선택
The Use of Antibiotics for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the MIMIC-IV Database PurposeICU에 입원 중인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 기계호흡기 관련 폐렴)의 clinical characteristics, etiological characteristics 그리고 이 환
blueorbit.tistory.com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26. 패혈증 혹은 패혈성 쇼크 성인 환자에서 항생제 치료를 할 때, 약력학/약동학 원칙과 특정 약물의 특성에 맞는 용량으로 투여할 것을 권고한다.
Best Practice Statement
Source control
27. 패혈증 혹은 패혈성 쇼크 성인 환자에서 응급으로 감염원 제거(source control)가 필요한 경우 특정한 감염 병소의 해부학적 위치를 빠르게 확인하거나 배제해야 하며, 적응증이 된다면 이러한 시술을 신속히 시행할 것을 권고한다.
Best Practice Statement
28. 패혈증 혹은 패혈성 쇼크 성인 환자에서 intravascular access device가 감염원일 가능성이 높다면, 다른 부위의 vascular access를 확보한 후 바로 제거할 것을 권고한다.
Best Practice Statement
De‑escalation of antibiotics
29. 패혈증 혹은 패혈성 쇼크 성인 환자에서, 항생제 점감 요법(de-escalation) 필요성에 대해 매일마다 평가할 것을 제안한다.
Weak recommendation, very low quality of evidence
Duration of antibiotics
30. 패혈증 혹은 패혈성 쇼크 성인 환자에서 적절한 source control이 되었다면, 항생제 치료 기간을 단축할 것을 제안한다.
Weak recommendation, very low quality of evidence
Biomarkers to discontinue antibiotics
31. 패혈증 혹은 패혈성 쇼크 성인 환자에서 적절한 source control이 되었지만 항생제 치료를 언제 중단할지 불확실한 경우, 임상적 평가 단독으로 결정하기보다는, 임상적 평가와 함께 procalcitonin 검사를 해서 항생제 중단 여부를 결정할 것을 제안한다.
Weak recommendation, low quality of evidence
Reference
Surviving sepsis campaign: international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sepsis and septic shock 2021
Intensive Care Medicine
2024.01.06 - [의학] - Surviving Sepsis Campaign 2021_2
Surviving Sepsis Campaign 2021_2
이번에는 지난 글에 이어서 Surviving Sepsis Campaign(2021년)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Hemodynamic management에서 fluid management와 vasopressor 등을 알아보고 이후에는 ventilation 관련 사항과 기타 치
blueorbit.tistory.com
2024.01.08 - [의학] - Surviving Sepsis Campaign 2021_3
Surviving Sepsis Campaign 2021_3
Additional therapies Corticosteroids 58. 패혈증 쇼크 성인 환자에서 지속적으로 승압제 주입이 필요한 경우, 정맥 스테로이드(IV corticosteroid)를 투여할 것을 제안한다. Remark 패혈성 쇼크 성인 환자에서의
blueorbit.tistory.com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속 주입 중이던 약물을 중단 했을 때 효과가 얼마나 지속될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0) | 2023.11.06 |
---|---|
Procalcitonin 검사의 활용 (0) | 2023.11.05 |
화상 환자의 상처 소독 방법 (0) | 2023.11.04 |
화상과 관련된 대사 변화 (0) | 2023.11.04 |
중환자 재활치료의 시행과 모니터링 (0) | 2022.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