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rule#16

가치투자자의 은퇴 후 생활 방법 두 가지_Rule#1 은퇴 뒤 생활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훌륭한 기업의 주식을 전부 팔아서 주택 담보대출을 상환하고 세계 여행을 하고 손자들을 방문하는 데 사용하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그대로 회사에 묶어 둔 채 필요한 만큼씩만 인출해서 은퇴 자금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어느 쪽이 더 좋을까? 시나리오 1: 주식을 전부 파는 방법주식을 팔 경우 100만 달러에 대한 세금을 제하고 남는 돈은 약 85만 달러이다(단순히 세금을 15%로 가정했을 때). 이를 연 4퍼센트 금리 정부 채권에 투자할 경우 매년 생활비로 떨어지는 세후소득은  3만 달러일 것이다.   Rule#1 투자를 하는 사람은 이런 은퇴 생활을 하지 않는다. 그들은 룰에 맞춰 움직이므로, 돈을 잃을 염려 없이 은퇴 자금을 투자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2024. 5. 12.
해자가 넓은 기업을 구입하는 시기_Rule#1 주가를 고려할 때 많은 투자자들이 저지르는 실수가 있다. 그들은 경쟁사와 경쟁을 잘하느냐 못하느냐가 주가 상승이나 하락에 영향을 미친다고 잘못 생각한다. 하지만 내가 볼 때 해자의 폭이 주가 상승에 영향을 끼친다. 가령 지난 7년 동안 펩시의 주가는 코카콜라 주가보다 월등히 높았다. 하지만 주식이 아니라 기업을 사야 한다는 사실을 유념하자. 기업 구매자로서 우리는 여러 요인이 주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이해해야 한다. 이런 요인은 기업의 품질이나 해자의 너비와는 아무 상관이 없는 경우가 많다. 한 가지 좋은 예가 있다. 1998년 펩시의 주당 가치는 44달러였고, 코카콜라의 주당 가치는 42달러였다. 주식시장에서 펩시는 실제 가치보다 30퍼센트 낮은 30달러에 거래되고 있었다. 다른 한편 코카콜라의 .. 2024. 5.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