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ulmonary embolism2 COVID 19 환자에서 D-dimer 상승의 의미 D-dimer and Death in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Coronavirus Disease 2019 Objectives COVID 19(coronavirus disease 2019) 환자에서 나타나는 hypercoagulability(응고 항진성)는 급성 장기 손상과 사망의 주요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응고 항진의 대표적인 biomarker인 혈중 D-dimer 레벨 상승과 mortality(사망률) 간의 관계에 대한 자세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D-dimer와 COVID 19 중환자 간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Design, setting, patients 다기관 코호트 연구로, 미국 전역의 68개 병원의 중환자실에서 2020년 3월 4일부터 2020.. 2024. 3. 5.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중환자 치료 Hemodynamic Management in the ICU 인간을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는 부족하지만,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의 최신 가이드라인에서 추천하는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치료는 다음과 같다: 1.volume expansion 시 주의할 것. 2. 혈압이 저하되어 필요한 경우 우심실 기능을 호전시키기 위해 norepinephrine을 주입할 것. 3. 기계 호흡 중인 환자에서는 낮은 tidal volume과 낮은 plateaue pressure를 유지할 것 전통적으로 dobutamine이 확실한 evidence가 없었음에도, 저혈압/쇼크에서 주요 약물로 선택되었다. Jardin 등이 보고한 바에 따르면 자발 호흡을 하는 10명의 환자를 대상으.. 2024. 3. 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