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neumonia5

ICU-acquired pneumonia 환자에서 시행한 항생제 점감요법(de-escalation)의 효과는? Impact of De-escalation Therapy on Clinical Outcomes for Intensive Care Unit-aquired Pneumonia IntroductionDe-escalation(항생제 점감 요법)은 현재 nosocimial pneumonia(원내감염 폐렴) 치료의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ICU-acquired pneumonia 환자의 치료에서 de-escalation therapy와 관련된 임상적 결과와 그 위험 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Methods2004년 9월부터 2007년까지 삼성서울병원 중환자실에서 입원 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입실하고 48시간이 지난 후 pneumonia가 발생한 경우에 대해 후향적 관찰 코호트 연구를 하였다. Resul.. 2024. 5. 2.
병원내 폐렴(nosocomial pneumonia, hospital-acquired pneumonia)의 치료 - 2 Modifications of Therapy and Duration of Treatment Figure 75.8은 nosocomial pneumonia 환자의 follow-up에 대한 flowchart를 보여줍니다. 항생제 투여 72시간 후에는 microbiological result에 따라서 반드시 adjustment 해야 합니다. 만약 원인균이 처음에 투여한 경험적인 β-lactam에 susceptible 하다면, 그 β-lactam을 계속 투여하고, 만약 susceptible 하지 않다면, 다른 β-lactam을 투여합니다. MRSA를 target으로 해서 경험적 항생제를 투여했는데 균배양 검사에서 MRSA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항생제를 중단해야 한다. 투여 3일에서 5일 후에는 fluor.. 2024. 2. 21.
기계 호흡 연관 폐렴 환자에서 항생제 선택 The Use of Antibiotics for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the MIMIC-IV Database Purpose ICU에 입원 중인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 기계호흡기 관련 폐렴)의 clinical characteristics, etiological characteristics 그리고 이 환자군에 흔히 처방되는 항생제에 대해 분석 후, VAP 환자에게 선택하는 항생제에 대한 guidance information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한 연구입니다. Method Medical Information Mart for Intensive Care IV (MIMIC-IV) database에서 VAP을 진단받은 환자.. 2024. 2. 17.
병원내 폐렴(nosocomial pneumonia, hospital-acquired pneumonia)의 치료 - 1 Nosocominal pneumonia(병원 내 감염)로 항생제 투여를 하기로 결정하였다면, 항생제 치료의 효과를 최대로 얻고 항생제 과용을 줄이기 위해 다음 세 가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1. 원인균으로 생각되는 균종 2. 원인균에 대해 active한 경험적 항생제의 선택 3. 배양 검사 결과에 따른 항생제의 adjustment와 투여 기간 Likely Etiologic Microorganisms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VAP,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의 원인균은 보통 환자의 orophrayngeal flora에서 유래하며, 환자의 만성적인 기저 질환, 특정한 위험 인자, 급성 염증 반응, 각 병원이나 중환자실에 특정한 인자들이 oropharynx의 비정상적인 bacter.. 2023. 11.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