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repinephrine7 Septic shock(패혈성 쇼크) 환자에서 IV thiamine 투여 Association Between IV Thiamine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Septic Shock: A Nationwide Observational Study Objectives Norepinephrine을 투여받는 패혈성 쇼크(septic shock) 환자에서 thiamine의 투여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 Design, setting, patients, and interventions 2010년 7월부터 2017년 3월 기간 동안의 후향적 관찰 코호트 연구. 일본의 전체 3차 응급 의료기관의 대략 90%를 차지하는 1,000개 이상의 급성기 병원. 입원 후 이틀 이내에 norepinephrine 투여가 필요했던 패혈성 쇼크 환자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입원.. 2024. 3. 29. 패혈증 환자 치료에서 과도한 수액 투여는 불량한 예후와 관련이 있다 Influence of fluid balance on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sepsis BackgroundSepsis(패혈증) 환자에게 조기에 fluid treatmen(수액 요법)와 resusciation(소생술)을 시행하는 것은 기본 치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sepsis 환자의 진단 후 첫 5일 동안의 fluid balance와 prognosis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MethodseICU Collaborative Research Database(eICI CRD)에서 sepsis 환자를 daily fluid balance에 따라 negative balance group (NB/−)과 the positive balance group (PB/+)로 나누었다.. 2024. 3. 22.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중환자 치료 Hemodynamic Management in the ICU 인간을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는 부족하지만,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의 최신 가이드라인에서 추천하는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치료는 다음과 같다: 1.volume expansion 시 주의할 것. 2. 혈압이 저하되어 필요한 경우 우심실 기능을 호전시키기 위해 norepinephrine을 주입할 것. 3. 기계 호흡 중인 환자에서는 낮은 tidal volume과 낮은 plateaue pressure를 유지할 것 전통적으로 dobutamine이 확실한 evidence가 없었음에도, 저혈압/쇼크에서 주요 약물로 선택되었다. Jardin 등이 보고한 바에 따르면 자발 호흡을 하는 10명의 환자를 대상으.. 2024. 3. 3. 승압제를 말초정맥으로 투여해도 안전할까? Safety of Peripheral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Vasoactive Medication BACKGROUND Vasopressor(혈관 수축제, 승압제)는 주로 중심정맥(central vein)을 통해 투여하지만, 말초정맥(peripheral vein)으로 투여가 가능하다면 중심정맥관 삽입에 따른 합병증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말초정맥으로 vasopressor를 투여할 때의 안전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METHODS 2012년 9월부터 20개월 간 내과 중환자실의 18 병상에서 말초정맥을 통한 vasopressor(norepinephrine, dopamine, phenylephrine)를 투여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RESULTS 총 734명의 환.. 2024. 2. 29.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