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hypothermia2

화상 환자의 열 조절 적절한 체온 유지는 중증 화상 환자의 치료에 중요한 요소이다. 체온 조절 시스템은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조절된다. 이들은 각각 중심 체온의 변화를 감지하고 뇌에 정보를 전달하는 구심성 신경계, 시상 하부에 주로 존재하며 구심성 신경자극의 공정과 반응을 결정하는 중앙 조절 체계, 중심 체온 변화에 따른 생물학적 및 행동학적 반응을 매개하는 원심성 신경계 등을 포함한다. 체온은 피부, 근육과 같은 말초 조직과 뇌, 복부 조직 및 흉부 내장과 같은 심부 조직에 존재하는 A-gamma 및 C 섬유에 의해 감지된다. 대부분의 구심성 신경자극은 심부 조직에서 발생한다. 피부는 외부 환경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외부 온도의 즉각적인 변화를 감지한다. 피부 및 기타 말초 조직의 구심성 신경자극은 전체 구심성 신경.. 2024. 3. 25.
화상 환자의 빈혈의 원인과 혈액 응고 장애 빈혈은 중증 환자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중증환자에서 빈혈이 발생하는 병태생리는 가피절제 및 피부이식에 따른 수술적 치료 중 발생하는 실혈과 중증 질환에 의한 빈혈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습니다. 화상 환자에서 빈혈이 나타나는 원인 중환자에서 빈혈은 체표면적 10% 정도의 화상을 입은 환자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습니다. 약간의 적혈구 감소는 임상적인 증상을 나타내지 않지만 실혈량이 총혈액량의 30% 이상을 넘어가게 되면 말초 장기의 관류 및 산소공급에 장애가 발생하여 임상 증상이 발현됩니다. 화상 초기 2주 동안 발생하는 빈혈은 대부분 화상 상처를 통한 실혈이나 수액치료에 의한 혈액희석, 반복되는 변연절제에 의한 실혈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화상 발생 후 2주가 지난 시점에서.. 2024. 1.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