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fibrinolysis3 DIC(파종성 혈관내 응고장애)의 치료 DIC(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opathy, 파종성 혈관내 응고장애)의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 원인 질환의 해결이 우선되어야 한다. 혈류역학적 지지요법, 응고인자와 혈소판 보충, coagulation(응고)와 섬유소용해(fibrinolysis)의 약물적 억제 등 치료는 일시적인 방법일 뿐이다. 증상이 없고 스스로 조절되는 대부분의 DIC는 응고병(증)의 검사 소견만 나타낼 뿐이므로 치료가 필요 없다. 그러나 활동성 출혈이 있거나, 출혈 위험성이 높은 DIC 환자는 thrombocytopenia(저혈소판혈증)의 교정을 위한 혈소판이나, 소모된 응고 인자를 보충하고 연장된 프로트롬빈시간(PT)과 활성화 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aPTT)을 교정하기 위해 신선냉동혈장(FFP)의.. 2024. 3. 12. COVID 19 환자에서 D-dimer 상승의 의미 D-dimer and Death in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Coronavirus Disease 2019 Objectives COVID 19(coronavirus disease 2019) 환자에서 나타나는 hypercoagulability(응고 항진성)는 급성 장기 손상과 사망의 주요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응고 항진의 대표적인 biomarker인 혈중 D-dimer 레벨 상승과 mortality(사망률) 간의 관계에 대한 자세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D-dimer와 COVID 19 중환자 간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Design, setting, patients 다기관 코호트 연구로, 미국 전역의 68개 병원의 중환자실에서 2020년 3월 4일부터 2020.. 2024. 3. 5. Sepsis-induced Coagulopathy와 DIC의 pathophysiology Sepsis induced coagulopathy와 DIC(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opathy, 파종성 혈관내 응고장애)로 이어지는 주요 경로는 coagulation, platelets, 다른 inflammatory cells(eg, neutrophils, lymphocytes)의 활성화와 vascular endothelial injury가 포함된다. 고전적으로 extrinsic coagulation pathway의 주요 구성인자로서 macrophages와 monocytes에서 발현되는 tissue factor가 coaulation 개시에서 중심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Tissue factor는 extracellular vesicle에서 발현되며, cell .. 2024. 2. 1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