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ic2 Sepsis-induced Coagulopathy와 DIC의 pathophysiology Sepsis induced coagulopathy와 DIC(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opathy, 파종성 혈관내 응고장애)로 이어지는 주요 경로는 coagulation, platelets, 다른 inflammatory cells(eg, neutrophils, lymphocytes)의 활성화와 vascular endothelial injury가 포함된다. 고전적으로 extrinsic coagulation pathway의 주요 구성인자로서 macrophages와 monocytes에서 발현되는 tissue factor가 coaulation 개시에서 중심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Tissue factor는 extracellular vesicle에서 발현되며, cell .. 2024. 2. 12. Sepsis-induced DIC 환자에서 antithrombin을 언제 투여해야 할까? Optimal Antithrombin Activity Threshold for Initiating Antithrombin Supplementation in Patients with Sepsis-Induced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A Multicenter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Abstract 저용량(1500 IU/d for 3 days)의 antithrombin 투여는 sepsis-induced DIC(disseminated intravascular cogaulation, DIC, 파종성 혈관내 응고장애) 환자의 예후를 향상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서, antithrombin 투여를 시작하는.. 2022. 6.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