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기자본이익률2 기업의 성장 단계에 따라 다른 투자 전략_김학주의 40배 수익클럽 채권처럼 주식도 만기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사람이 수명이 있는 것처럼 기업도 '생로병사'의 과정을 거치는데, 그 국면마다 투자 전략이 다르다. 개인투자자들은 연 10%의 투자수익률을 안정적으로 얻기 위해 주가지수 위주의 장기 보유 전략을 기본으로 할 수 있지만, 부분적으로 각자 확신이 있는 개별기업을 매매함으로써 초과수익률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국면마다의 투자 전략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도입기기업 탄생 초기 상태에는 기업을 시작하기 전 R&D와 생산시설 등 고정투자 후 아직 제품이 출시되지 않아 실적도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적자 상태이며, 가치평가가 쉽지 않다. 여기서는 두 가지만 볼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성장 잠재력, 즉 궁극적으로 블루오션으로 갈 수 있는지 여부이고, 두번째는 남이 모방할.. 2024. 12. 8. 필수품형 생산 기업의 특징 '주식 투자 이렇게 하라(메리 버핏, 데이비드 클라크 저. 이기문 역. 청림출판)'에서는 워런 버핏이 다음과 같이 기업을 두 종류로 분류했다고 합니다: 끊임없이 형편없는 결과만을 낳을 근본적으로 평범한 타입의 필수품형 생산 기업(commodity-type business)와 소비자 독점 기업(consumer monopoly business). 이중 오늘 소개할 필수품형 생산 기업이란, 소바자의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단지 가격밖에 없는 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책에서 이러한 기업의 예로 섬유 제조 회사, 옥수수나 쌀 등 가공하지 않은 농산물 생산자, 철강 회사, 가스와 정유 회사, 목재 회사, 제지 회사가 있는데, 이 책이 1997년에 출간되었고 이후 워런 버핏이 셰브론, 옥시덴탈 페트롤리.. 2024. 3. 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