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변비3

배변장애에 사용하는 약제 완하제 팽창성 완하제 식이 조절에 있어서 섬유질을 충분하게 섭취하지 못했던 사람들은 팽창성 완화제를 복용해서 대변 수분이 함유되는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충분한 수분과 함께 섭취하였을 때 효과가 좋다. 챙창성 완하제의 다른 장점 중 하나는 혈철 콜레스테롤을 줄여준다는 것인데, 이것은 아마도 완하제가 담즙산과 결합함으로써 담즙산의 재흡수를 줄여주어 담즙산의 전체 양을 낮추는 효과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부작용은 보통 셀룰로오스와 리그닌 제품과 연관되어 배에 가스가 차거나 부풀어져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장내에 병변이 있다면 장폐쇄와 변매복이 생길 수 있으며, 알러지 반응도 보고되어 있다. 차전자피를 주성분으로 하는 약제들이 여기에 속한다. 대변 연화제 팽창성 하제에 저항을 보이는 환자는 대변 연화제와 .. 2024. 3. 29.
Enteral nutrition(경장 영양)의 부작용 1. Aspiration Enteral nutrition (EN, 경장 영양)을 시행 중인 환자에서 aspiration의 발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EN을 시행받는 환자에서 pneumonia가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고 aspiration 발생률 또한 더 높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그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이는 아마도 환자의 underlying condition에 기인할 가능성이 높다. 중환자에서 aspiration이 더 많이 발생하는 것은, 환자의 airway를 보호하는 기능이 떨어져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aspiration이 명확히 임상적인 결과 (eg, 다량의 내용물이 aspiration 됨으로써 hypoxia나 pneumonitis가 발생)가 나타나지 않는 이상, 대부.. 2024. 3. 21.
항문질환 Q&A-1 항문질환과 유전 항문질환 자체가 유전병은 아니지만 항문질환을 일으키는 소인은 유전된다. 예를 들면 내치핵은 항문의 점막하 쿠션조직이 밀려 내려와 생기는 질환인데 이 쿠션조직을 붙들어 매고 있는 점막지지인대가 느슨하냐, 튼튼하냐, 또 배변 시에 늘어났던 점막지지인대가 배변 후 얼마나 빨리 원상태로 회복되느냐 등 치핵이 발생하는 소인은 유전된다. 또한 항문괄약근의 조임이 강하다면 치핵, 치열의 발생이 잘 되고 항문샘이 다른 사람보다 깊다면 항문주위 농양이나 치루가 잘 생긴다. 따라서 부모나 형제들에게 항문질환이 있다면 항문질환의 예방을 위해 올바른 배변습관과 식생활 등에 신경을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문질환에 나쁜 음식 술을 피해야 한다. 맥주, 소주 등 술은 항문부위의 충혈을 일으키고 설사를 유발하며 간.. 2024. 3.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