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광의통화2

통화량과 통화지표: M1, M2, Lf, L 투자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시장이 투자하기에 좋은 환경이냐 아니냐일 것입니다. 이를 알기 위해 우리는 중앙은행의 기준금리에 주목하는 것이죠. 이에 따라 시장의 유동성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시장의 분위기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결국 통화량을 알아야 할 텐데 이번 글에서는 통화량과 통화지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통화량과 통화지표 경제 내에서 유통되는 돈의 양, 즉 통화량(money stock)은 물가, 금리, 환율 등의 변동을 통해 우리의 경제생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돈이 시중에 필요 이상 또는 반대로 너무 적게 풀려 있으면 경제에 많은 어려움을 줍니다. 통화량을 효과 적으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통되고 있는 돈의 총량을 파악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통화지표를 작성합니다. 통화지표는 무엇까지를 돈의.. 2024. 3. 16.
시장의 유동성 확인: M2/GDP 비율 (Marshallian K) "여의도가 사랑하는 금융 지표를 하나 뽑으라고 한다면, 단연 M2(광의통화)라고 말할 것이다. M2는 통화량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인데, 증시는 이 유동성에 매우 진지하다. 유동성이 대규모로 공급되면, 조만간 주식 시장은 큰 추세를 돌려 상승세로 돌아설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FED가 금리를 인하하고 유동성을 공급해 주기만 오매불망 기다리는 것이다. 엄밀하게 말해서 M2 자체가 중요하다기보다 GDP(Gross domestic product) 증가율 대비 M2의 초과 증가율이 증시와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살 때, 팔 때, 벌 때(강영현 저, 21세기 북스)"에 나오는 M2, M2/GDP ratio에 대한 내용입니다. M2/GDP 비율은 국내총생산(GDP)에 대한 국가의 통화 공급량(M.. 2024. 1.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