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자220 자산 배분과 합리성 기업 경영에서 가장 중요한 행위는 기업의 자산 배분이다. 왜냐하면 자본 배분이 장기적으로 주주의 가치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워런 버핏은 기업의 수익을 가지고 무엇을 해야 할지 결정할 때 논리적이고 합리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버핏이 생각하기에 합리성이야말로 버크셔의 경영에 차별화를 가져오는 주요한 특징이다. 이것은 다른 기업들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특징이기도 하다.- 캐럴 루미스 수익을 어디에 배분하느냐의 문제는 기업이 라이프사이클에서 어디에 위치해 있느냐와 관련 있다. 기업이 경제적 라이프사이클에 진입할 때는 성장률, 매출, 수익과 현금 흐름에서 극적인 변화가 발생한다. 발전 단계에서는 제품을 개발하고 시장에 진출해야 하기 때문에 기업은 적자를 본다. 그다음 단계인 성장기에는 수익을 거두지만 감당하지 .. 2024. 11. 20. 집중투자와 켈리 공식 흔히 최적 성장 전략으로도 불리는 켈리의 최적화 모델은 성공 확률을 알고 있을 때 가진 돈의 일부를 베팅하여 성장률을 극대화한다는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다. 공식으로 표현하면 2p - 1 = x이다. 승리학 확률(p)의 2배에서 1을 뺀 숫자가 판돈을 걸어야 할 총금액의 비율(x)이 된다. 예를 들어 카지노를 이길 확률이 55퍼센트라면 가진 돈의 10퍼센트를 베팅하여 당신의 승리를 극대화해야 한다. 그리고 승리할 확률이 100퍼센트라면 가진 돈을 모두 베팅해야 한다. 켈리의 접근법을 사용하려면 투자 과정 전반에 걸쳐 거듭되는 재계산과 조정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확률의 정도와 투자 규모를 수학적으로 연결시키는 기본적인 개념은 중요한 교훈을 담고 있다. 켈리 모델이 집중투자를 위해서도 매력적인 도구.. 2024. 11. 19. 개인사업자와 법인 간의 차이점 개인사업자와 법인은 어떤 게 다를까요? 이번 글에서는 '나의 첫 회계 수업(고윤아 저)'를 통해 그 차이를 알아보았습니다. 1. 사업의 주체가 다르다개인사업자는 사업자가 개인 자격으로 사업을 운영하는 형태로, 사업자 본인이 사업의 모든 책임을 지며, 사업 소득은 개인 소득으로 간주된다. 반면 법인은 사업체 자체가 독립적인 법적 실체로 인정받는 형태로, 주주와 이사회를 통해 운영되며, 서업 소득은 법인 소득으로 간주되어 법인세가 부과된다. 2. 사업자등록증이 같지만, 설립 절차는 다르다개인이든 법인이든 사업을 설립하는 것은 같다. 사업자등록증을 발급받으면 사업자등록번호가 생기는데 그건 회사의 주민등록번호다 회사에 인격을 부여한 것이다. 개인은 사업자등록증만 만들어 사업을 시작할 수 있지만 법인은 다르다. .. 2024. 11. 14. 기업의 자사주 취득 이유는? 기업들이 자사주를 취득하는 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다. 첫째, 자사주 취득은 주가를 올려 주주에게 부를 환원한다는 목적이 있다. 기업이 자사주를 매입하면 그 이유를 공시해야 한다. 한국의 경우 공시내용을 살펴보면 자사주 매입 목적의 90% 이상이 주가안정과 주주이익 제고이다. 자사주매입과 주가는 어떠한 관계를 가질까? 자사주를 취득하게 되면 주당순이익(earning per share, EPS)이 상승하여 일시적으로 주가가 상승하게 된다. EPS는 당기순이익을 유통주식수로 나누어 계산한다. 유통주식수란 발행주식수에서 자기주식을 차감한 주식의 수이다. 개념적으로는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으면서 의결권과 배당권을 모두 가진 주식의 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자사주 취득으로 유통주식수가 줄어들게 되므로 EOS가 상승하.. 2024. 11. 13. 이전 1 2 3 4 5 6 7 ··· 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