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76

과거 실적만 믿는 투자의 위험 들어가며1920년대 후반 미국 증시는 과거 실적을 근거로 미래를 낙관하는 이른바 ‘새 시대 이론(New Era Theory)’이 득세했다. 이 이론은 주가수익비율(PER)과 이익 추세에 지나치게 집착하며, 기업의 본질적 가치와 자산 축적 과정을 무시했다. 그 결과 투자자들은 건전한 원칙 대신 불완전한 논리에 의존했고, 1929년 대공황으로 이어지는 불안정한 투자 풍토를 낳게 되었다.이번 글에서는 증권 분석(벤저민 그레이엄)'에서 설명하는 과거 실적만 믿는 투자의 위험에 대해 알아보자. 새 시대 이론1. 장기투자와 이익 재투자의 힘에드 로런스 스미스가 1924년에 출간한 '보통주의 장기투자(Common Stocks as Long-Term Investments)'는 당시 주식 투자에 큰 영향을 준 책이다. .. 2025. 9. 19.
위기에서 현금으로: 헬스케어 업계의 매출채권 지표 비교 들어가며코로나 이후 헬스케어 산업의 매출채권 지표(AR metrics)가 심각하게 악화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놀랍게도 수치는 탄탄하게 유지되었습니다. 우리는 2019~2022년 동안 상위 25개 헬스케어 기업의 order-to-cash 지표를 분석하여 트렌드를 파악하고 벤치마크 값을 설정했습니다. 함께 살펴볼까요? 코로나 이후에도 탄탄했던 헬스케어 업계코로나19 팬데믹은 대부분의 헬스케어 기업들의 수익 사이클을 붕괴시켰습니다. 규제 모라토리엄으로 인해 채권 회수가 중단되면서 DSO(매출채권 회전일수)가 늘고, 대손도 증가했습니다.그러나 3년이 지난 후 헬스케어 기업들은 재무 건전성을 강화했고, order-to-cash 사이클, DSO, DPO 등 운전자본 지표에서 개선을 보였습니다. 현금전환주기(CCC).. 2025. 9. 14.
공정가치(Level 1, 2, 3) 이해하기 들어가며기업 재무제표를 읽다 보면 Level 1, Level 2, Level 3 공정가치 측정이라는 낯선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된다. 이는 기업이 보유한 자산과 부채를 어떤 기준으로 평가했는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정보로, 특히 의료기기, 제약, 금융기업 등은 복잡한 금융상품이나 인수합병 조건부 대가를 보유하는 경우가 많아 투자자가 반드시 이해해야 하는 부분이다. 공정가치란 무엇인가?공정가치(Fair Value)는 측정일 현재 정상적인 거래에서 시장참여자 간에 자산을 매각할 때 받을 수 있는 가격 또는 부채를 이전할 때 지급할 금액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회계장부상의 장부가가 아니라 실제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는 가격을 반영하려는 개념이다. 세 가지 계층(Level 1, 2, 3)Level 1 – 가장 확.. 2025. 9. 14.
후회 없는 투자 후회 없는 투자란 무엇인가훗날 투자에서 성공 여부와 관계없이 뒤돌아봤을 때 후회가 남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워런 버핏과 찰리 멍거의 가르침을 따랐는가의 여부가 가장 클 것이다. 트레이딩, 레버리지 투자, 외환 투자 등 여러 방법을 시도해 보았지만, 마음은 늘 불편했다. 결국 가치투자로 돌아오는 데 몇 년이 걸렸고, 그 과정은 내가 어떤 투자를 할 수 있고 또 하고 싶은지 찾는 여정이었다. 9월부터 시작하는 가족 펀드를 준비하며 포트 정리도 하고 다시 한번 '현명한 투자자(벤저민 그레이엄 저. 이건 역. 국일증권경제연구소)'를 읽어보았다. 어떤 원칙을 갖고 투자해야 하는지 다시 한번 마음을 다잡을 수 있었다. 사업처럼 하는 투자가장 사업처럼 하는 투자가 가장 현명한 투자다. 건전한 원칙을 지.. 2025. 8.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