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비전이 팀의 비전
기업의 경영활동은 자금흐름을 통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금은 재무제표라는 기업의 몸체에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흘러가는 혈액에 해당하지요. 부채와 자본으로 시작한 현금은 자산으로 이어지고 이를 통해 비용으로 전환되고 수익을 내서 이익이 되고 이는 다시 자본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기업의 목표는 이러한 회계의 사이클을 깨트리지 않도록 설정되어야 하고, 각 부서와 개인은 자신의 역할을 회계사이클의 관점에서 되돌아보고 내가 하는 일이 회사의 자금흐름을 막고 있지는 않은지 항상 생각해야 합니다.
하지만 현실을 보면 기업의 목표를 이해하는 경우는 드물고 각 팀이 어떻게 해야 기업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 모를 때가 많습니다. 기업의 비전을 향해 전 직원의 힘을 한 곳으로 모으는 것은 가장 어렵고도 중요한 경영요소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직원들이 열심히 하지 않아서라기보다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기업의 비전을 향해 나아갈 수 있는지 모르기 때문인 경우가 더욱 많습니다.
영업부서의 사이클
영업부서가 매출 극대화를 목표로 한다면, 가격할인을 하고 또 고객에게 대금 회수기간을 연장해 줄 수 있습니다. 또 신용도가 낮은 소규모거래처까지 목표고객으로 삼을 수도 있겠지요. 이러한 정책은 매출 극대화라는 영업부서의 성과는 높여주지만 오히려 회계사이클을 막는 행동이 될 수도 있습니다. 재무제표에서 본다면 외상매출금, 매출 항목이 영업부서에 해당되는 가장 중요한 항목입니다. 따라서 영업부서는 '매출원가에 비해 더 많은 매출액을 올리는가?', '매출액에 비해 외상매출금이 너무 많이 쌓이지는 않았는가'라는 두 가지 흐름에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첫째, 영업부서는 매출원가와 매출액을 비교할 수 있어야 합니다. 가격할인이나 덤으로 지급하는 행사를 하더라도 손해를 보면서 팔아서는 안 되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제품의 원가구조를 명확히 알아야 하는데, 제품 한 개당 원가뿐 아니라 원가계산에 포함된 변동비와 고정비 등 매출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비용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에 공헌이익을 알아볼 때 설명드리겠습니다.
둘째, 매출액은 되도록 빨리 현금으로 회수되어 다른 자산을 취득하는 데 사용해야 합니다. 그러나 대금회수기한을 연장시켜 주거나 소규모거래처와 거래하면서 외상매출금이 늘어난다면 이는 거래처에 현금을 무이자로 불려준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이익을 내지 못하는 자산인 외상매출금에 현금이 묶여 있게 되므로 회계사이클을 막는 요인이 됩니다.
생산부서의 사이클
생산부서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생산라인을 계속 혁신하고 비효율적인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노력합니다. 또한 구매부서는 원재료나 재고자산을 더욱 싸게 구입하기 위해 대량구매를 하려 하기도 하고요. 이러한 정책이 재고자산을 증가시킨다면 생산부서와 구매부서의 성과는 높아지겠지요. 재무제표에서 본다면 외상매입금, 재고자산, 매출원가 항목이 생산부서와 구매부서에 해당되는 가장 중요한 항목입니다. 생산 및 구매부서는 두 가지 흐름, '재고자산 매입대금을 적절히 관리하고 있는가?', '재고자산은 신속히 판매되어 매출원가로 전환되는가?'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첫째, 재고자산 매입대금을 미루면 외상매입금이 증가하는데, 이는 재고자산 매입대금을 거래처에 지급하였다가 다시 무이자로 차입한 의미입니다. 외상매입금이 증가할수록 자금의 흐름은 좋아지겠지요. 다만, 외상매입금을 무조건 지연시킨다면 서비스나 물건의 품질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거래처와의 관계를 고려해야 합니다.
둘째, 재고자산은 신속히 판매되어 매출원가로 전환될 때 회계사이클이 원활해집니다. 그러나 구매부서의 대량구매와 생산부서의 생산성증가가 매출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재고자산이 증가합니다. 이는 현금을 재고자산에 묶어놓는 결과가 되어 자금흐름이 안 좋아지고 재고자산 유지비용(보관비용, 폐기손실 등)을 증가시킵니다. 결국 재고자산은 판매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매출원가와 함께 검토해야 합니다.
Reference
회계 천재가 된 홍대리 1. 손봉석 저. 다산북스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형자산 (Property, Plant and Equipment) (1) | 2024.11.25 |
---|---|
공정가치의 적용 (12) | 2024.11.17 |
퇴직연금제도 DB, DC와 회계처리 (3) | 2024.11.16 |
주주가치 측정 방법과 브랜드 가치 (3) | 2024.11.15 |
현금흐름표로 기업 상태 알아보기 (1) | 2024.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