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훌륭한 기업에 투자하라_테리 스미스

by Blueorbit 2024. 6. 7.

'퀄리티 투자, 그 증명의 기록(테리 스미스 저. 김진원 역. 워터베어프레스)'의 '지난 5년간 펀드스미스에서 배운 것들'을 읽었다. 이 글의 핵심 문장을 고르자면 '훌륭한 기업에 투자하라'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보통 투자에 대해 논할 때 거시경제, 금리, 양적 완화, 자산 배분, 지역이나 지리적 배분, 통화, 선진국과 신흥국 사이의 선택에 대해 이야기하나다. 지금도 금리 인하 여부에 대한 기사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간혹 기업에 대해 이야기한다고 해도 '저렴한'지 여부가 주요 관심사라고 할 수 있다. 가치평가의 주요 목적도 그렇지 않은가? 해당 기업이 적정 가격에 비해 싼 지 비싼지를 봐야 한다. 

 

그러나 주식이 기업 소유권의 일부라는 것에 동의한다면 투자자가 가장 중요시해야 하는 건 그 회사가 훌륭한지 여부이다. 훌륭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시장점유율이 높으며, 뛰어난 수익성과 현금흐름을 구가하고, 제품 개발에 힘쓴다면 그 회사는 훌륭한 회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고퀄리티 기업을 찾는데 집중해야 한다.

 

고퀄리티가 아닌 기업에 투자했을 때의 단점은 어떤 게 있을까? '시간은 우수한 기업에는 친구지만 열등한 기업에는 적이다'라는 말이 있듯이 저퀄리티나 평균적인 기업은 시간이 갈수록 주주가치를 파괴한다. 투여한 자본 이상의 이익을 올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유 후 매수 전략은 이러한 기업들에서는 통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저퀄리티 기업을 저가 매수 후 고가에 매도하는 전략은 어떨까? 안타깝게도 이러한 능력을 가진 투자자는 드물 뿐만 아니라, 거래 비용이 증가한다는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

 

 

고퀄리티 기업에 투자하는 데 있어 어려움으로 이들의 주가는 대체로 비싸다는 점을 들 수 있는데, 그렇다면 매수를 하는 데에는 두 가지 경우가 있다. 여러 가지 이유로 주가가 조정 혹은 폭락했을 때 매수하는 경우와 그냥 지금 사는 전략이다. 첫 번째 경우는 가치평가와 인내심이 필요하다. 그러한 상황은 자주 오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회를 잡을 수만 있다면 아주 높은 수익률을 거둘 수 있다. 두 번째는 어떨까? 책의 전반에 걸쳐 테리 스미스는 '비싸게 사지 말 것'을 강조한다. 그럼에도 그는 장기투자자의 투자 실적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은 훌륭한 기업 주식을 보유했는지 여부이며, 주식을 싸게 매수했는지는 아니라고 말한다. 물론 이 관점을 따르려면 몇 가지 조건이 더 필요하다. 바로 기업에 대한 확고한 이해와 믿음, 그리고 장기보유.

 

글의 말미에서 테리 스미스는 최고의 종목은 심오하고 모호하며 다른 투자자가 아직 알아채지 못한 종목이 아닌, 누가 봐도 확실한 투자가 최고인 경우가 많다고 말한다. 이에 대한 예로 그는 도미노피자 투자에서의 성공을 든다. 또한 훌륭한 종목을 보유했다면 주가가 오른다고 매도하는 것은 좋은 선택이 아니라고 강조한다. 승자 종목이 계속 달리게 두라는 것이다. 평가이익을 기록 중이라는 건 계속 보유할 가치가 있는 기업의 주식을 갖고 있다는 의미일 수 있다.

 

주가가 하락한 괜찮은 기업과 주가가 계속 오르는 코퀄리티 기업 중 어디에 투자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많은 투자자의 숙제다. 물론 두 부류의 종목 모두를 보유할 수 있다. 그러나 의미 있는 비중을 어디에 실어야 하는지에 대한 선택은 여전히 남아 있을뿐더러 투자의 성과에서 중요한 요소다. 오늘 읽은 글에서는 훌륭한 기업의 손을 들어준다. 다만 투자금과 시점의 분산을 함께 해야겠지만 말이다. 

 

2024.05.28 - [투자] - 훌륭한 기업의 괜찮은 가격

 

훌륭한 기업의 괜찮은 가격

초창기 버크셔 해서웨이가 겪은 불운은 케인스와 워런 버핏 모두가 가르쳐주는 교훈을 보여주는 사례다. 그 교훈은 지속 가능한 경쟁우위, 또는 워런 버핏의 용어를 빌리자면 '경제적 해자'를

blueorbit.tistory.com

 

2024.05.26 - [투자] - 가치와 가격 그리고 가치투자자

 

가치와 가격 그리고 가치투자자

가격은 여러분이 지불하는 것이고, 가치는 여러분이 그 대가로 얻는 것입니다.- 워런 버핏 장기적으로 볼 때 주식의 수익률이 채권보다 더 높다는 사실에 반박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

blueorbit.tistory.com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진에게 필요한 자질_제프 베이조스  (0) 2024.06.12
장기적 관점의 주식투자 전략  (1) 2024.06.04
케인스의 가치투자관  (0) 2024.06.01
한 번에 한 기업씩  (0) 2024.05.30
훌륭한 기업의 괜찮은 가격  (0) 2024.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