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확증편향2 투자를 망치는 인지편향 투자에 관한 책을 읽어보면 빠지지 않고 나오는 부분이 투자자의 심리 관리입니다. 투자 주체가 완전히 합리적인 인간이라고 가정하는 전통 금융경제학과 달리 행동재무학(Behavioral Finance)에서는 감정에 휘둘려 비이성적인 행동을 하는 진짜 인간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전통 금융경제학에서는 인간이 모든 것을 적당한 시기에 쓰는 합리적 인간이라고 보지만, 행동재무학에서는 인간의 감정이 모두 다르고 의사결정 과정에 감정이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합니다. 즉, 왜 사람들이 자신의 부를 극대화하는 의사결정을 하지 않고 엉뚱한 짓을 하는지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고 할 수 있지요. '월스트리트 퀀트투자의 법칙(비즈니스 북스)'의 저자 영주 닐슨은 퀀트 투자의 필요성과 장점을 소개하면서 인간의 감정은 고유한 것이라.. 2023. 12. 31. 확증편향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 투자자의 가장 큰 적 중 하나로, 주식을 사기 전에는 어느 정도 객관적인 분석이 가능하지만, 매수 후에는 오직 주관적인 분석만 가능. 주가가 떨어지면 대다수 투자자는 주가가 오르기를 바라고, 주식에 불리한 정보는 무시하기 십상. 결국 회복할 수 없을 만큼 주가가 떨어지고 나서야 투자자들은 마침내 실수를 인정하고 현실을 받아들인다. Reference. '내 주식이 떨어지면 '반등할 이유'만 찾는 당신에게...'. 김재현. 머니투데이. 2022.6.18 확증 편향이란, 자기가 ‘바라는 정보’만을 듣고 싶어 하는 심리적 상태를 의미한다. 사람들이 확증 편향에 빠지는 순간, 시장은 과열 혹은 패닉에 빠지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강세장에서는 사람들이 호재만 듣고.. 2022. 8. 2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