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중환자4

중환자의 인지 손상에 대한 회복과 재활 회복많은 연구들이 비록 중증질환 환자가 일반적으로 경험하는 회복이 부분적이거나 완전하지 않지만, 그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자연적 회복 곡선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자발적 회복 기간은 몇 달에서 몇 년에 걸쳐서 일어나며, 회복률은 환자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것이며 시간이 어느 정도 지났을 때 나타날 것이다. 모든 환자가 회복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지나치게 단순화한 것이다. 중증질환 생존자들은 다양한 회복곡선을 가지고 있다. 그 곡선에는 질변 전의 기준치 기능으로 회복하는 사람, 인지기능이 감소한 사람, 인지기능에 변화가 없거나 시간이 지나도 고정된 상태로 남아 있는 사람을 포함한다. 시간이 지나도 고정된 상태로 남아있는 그룹에는 두 개의 하위 집단이 있다. 중증질환 전 정상 인지 기능을 가지고 있는 .. 2024. 10. 6.
영양과 재활의 시너지 효과 단기간의 부동상태도 골격근 소모에 현저한 효과를 미칠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의인성 영양실조에 의해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다. 건강한 개인들도 부동기간이 14일을 넘으면 아미노산 이용의 상승 영부에 관계없이 myofibrillar protein synthesis가 감소하는데, 이는 근육 합성대사가 억제됨을 의미한다. 첫 2-3주 동안 하루 1.5~2%의 근육이 결과적으로 손실되어 근육량 항상성 이상을 가져올 뿐 아니라, 근육이 단백질 합성을 위해 순환 아미노산을 활용하는 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이를 동화저항이라 한다. 그러나 침상생활이 길어지는 동안 필수 아미노산을 공급하여 단백질합성을 촉진시키는 생리적 동화작용 타깃 방법이 개별 요소들을 타깃 하는 방법보다 근육 손실을 예방하거나 제한하는 이득이 있다는.. 2024. 3. 30.
Procalcitonin을 어떻게 이용해야 할까? 하기도 감염증과 패혈증 환자의 치료에서 procalcitonin 이용에 대해 여러 학회에서 다양한 권고를 하고 있다. US FDA에는 패혈증과 패혈성 쇼크로 진행하는지 예측하기 위해 중환자실 입실 첫날에 실험실 검사, 임상 평가와 함께 procalcitonin을 검사하는 것을 승인하였고, 이어서 중환자의 28일째 사망률을 예측하기 위한 serial procalcitonin 검사를 승인하였다. 2017년에는 하기도 감염증 환자의 항생제 시작과 중단, 그리고 패혈증 환자에서 항생제를 중단 여부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ER과 hospital clinician이 procalcitonin을 검사하는 것을 승인했다. Discussion and recommend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2021. 10. 4.
TPN (total parenteral nutrition) prescription 다음은 환자에게 조제 TPN 처방을 내는 방법이다. 환자는 70 kg의 성인이며, malnutrition이 없고 volume restriction이 없다고 가정하였다. Step 1 가장 처음에 해야 할 일은 환자의 calories와 protein의 일일 요구량을 정하는 것이다. 가장 흔히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calorie에 대해서는 25 kcal/kg//day, protein에 대해서는 1.2–1.6 g/kg/day로 계산한다. 만약 환자의 actual body weight가 ideal body weight의 125% 이내라면, actual body weight를 이용해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adjusted body weight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resting energy expenditure를.. 2021. 9.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