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상증자1 유상증자, 무상증자, 유상감자, 무상감자 유상증자부실기업의 경우 장기간의 실적 부진으로 외부차입을 통한 자금 조달이 사실상 불가능해져서 부족한 운전자본을 주주 대상의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하게 된다. 유상증자를 발표한 이후 기업의 주가가 거의 하한가까지 곤두박질치는 모습을 자주 목격하곤 한다. 그렇다면 주주 입장에서는 모든 유상증자가 악재인 것일까? 매출 대부분이 수주에서 발생하는 반도체 장비회사가 어느 날 갑자기 고객인 반도체 생산회사로부터 대량의 장비 주문을 수주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그 기업은 반도체 장비 생산에 필요한 운전자본이 당연히 많이 필요할 것이고, 내부 현금이나 외부차입으로는 충분치 않아서 유상증자를 결정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유상증자에 따른 발행주식 수 증가로 주주의 가치가 희석되는 부분도 분명히 있다. 하지만 매출 증가.. 2024. 11.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