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버핏도 따라한 케인스의 주식투자 비법4 장기적 관점의 주식투자 전략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성공적인 투기꾼들의 덧없지만 강렬한 만족감을 무엇보다 잘 이해하고 있었다.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을 쓰면서 케인스는 "인간의 본성은 결과물이 재빨리 나오기를 갈망하고, 평범한 사람들은 멀리 있는 이득일수록 더 높은 비율로 할인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는 현대의 행동 경제학자들이 '과장된 할인'의 병적 상태라고 말하는 심리다. 케인스는 이런 심리학적 특징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투자 경력 후반기에 주식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뒀다. 장기적 전망을 갖는 것은 저평가된 주식의 숨은 잠재력을 실현하게 한다는 투자 전략과 맞아떨어진다. 뿐만 아니라 그 '꾸준함' 덕분에 적극적 투자자의 자본을 잠식하는 거래비용으로부터 투자자를 지켜주기도 한다. 그는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 2024. 6. 4. 훌륭한 기업의 괜찮은 가격 초창기 버크셔 해서웨이가 겪은 불운은 케인스와 워런 버핏 모두가 가르쳐주는 교훈을 보여주는 사례다. 그 교훈은 지속 가능한 경쟁우위, 또는 워런 버핏의 용어를 빌리자면 '경제적 해자'를 확보한 기업의 지분을 취득해야 한다는 것이다. 버크셔 해서웨이가 처음에 영위했던 섬유 제조업은 높은 자본적 지출이 필요한 반면, 일반적으로 저조한 수익률을 가져다주는 1차 산업이었다. 워런 버핏은 독점적인 영업권이나 확고한 과점 체제, 잘 알려진 브랜드 네임 같은 튼튼한 진입장벽을 구축하고 있는 기업들이 장기적 투자 전망에서는 훨씬 더유리하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워런 버핏은 "순풍보다 맞바람에 더 센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위대한 기업이 순간적인 어려움에 사로잡힐 때 투자 기회가 나타난다".. 2024. 5. 28. 실질가치와 기대수익률 가치 측정 게임가치투자자들에게는 시장 효율성이란 시점의 문제일 뿐이다. 그들은 금융거래가 단기적으로 변하지 않는 효율성을 갖는다는 점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주식시장이 사실상 대단히 효율적인 저울이라는 점은 받아들인다. 초창기 펀드 매니저인 존 보글은 이렇게 말했다. "지각되는 가치(잠정적 주가)가 실질가치(기업의 내재가치)와 두드러지게 괴리될 때, 그 격차는 결국 실질가치를 축으로 수렴될 것이다." 이는 단순하면서도 이론의 여지가 없는 수작적 동일성 때문이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총체적으로 투자자들은 기업이 벌어들인 수익만큼의 수익만 올릴 뿐이다. 야성적 추동은 인내심이 부족하다. 이것 때문에 주가가 한동안 내재가치를 이탈해 있을 수는 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수익과 배당이라는 확고한.. 2024. 5. 20. 미인주의 필요조건 주식의 내재가치를 규명한다는 것은 어쩔 수 없이 부정확한 행위이다. 워런 버핏은 "주식의 내재가치와 기본 가치를 정확한 수치로 집어내기는 불가능하다. 하지만 필수적으로 예측해보아야만 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내재가치란 기껏해야 가능성의 범위에 존재하는 불분명한 측정치에 불과하다. 직절 요소가 중요한 이유는 내재가치의 계산이 적절하게 이뤄진다고 해도 고작해야 분석의 기초 단계를 넘어설 수 없기 때문이다. 벤저민 그레이엄은 이렇게 말했다. "주식가치에 대해 단순한 연산이나 가장 기초적인 대수의 수준을 넘어서는 믿을 만한 계산을 본 적이 없다." 내재가치 계산의 효용성은 실질적인 가치의 범위를 정하는 것이다. 또한 투자자가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볼 만한지 확인시켜 .. 2024. 5. 1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