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박 회계사의 재무제표 분석법2 재고자산과 범주 기업이 제품을 만들기 위해 보유하는 원재료이건 외부에 팔아서 이익을 남기기 위해 보유한 상품이건 간에 중요한 것은 자산이 자산다워야 한다는 것이다. 즉 생산원가보다 높은 가격에 시장에서 잘 팔여야 한다는 뜻이며, 그렇지 않은 재고자산은 가치를 상실했으므로 재고자산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이야기다. 회사는 제품을 생한하는 시점에 이미 원재료비, 인건비, 경비 등을 다 써버렸다. 돈이 지출되면 비용처리를 해야 하는데, 판매해서 돈을 벌기 위한 재고이므로 자산으로 처리해 줬다. 만약 유행이 훨씬 지나 팔리지도 않는 재고자산을 수북하게 쌓아놓은 경우, 또는 만들어낸 원가에 비해 판매가가 더 낮아져서 팔면 팔수록 손해인 재고자산이 있다면 그것들은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한 것이다. 생산원가 이상으로 회사에 돈을 벌.. 2024. 12. 18. 유상증자, 무상증자, 유상감자, 무상감자 유상증자부실기업의 경우 장기간의 실적 부진으로 외부차입을 통한 자금 조달이 사실상 불가능해져서 부족한 운전자본을 주주 대상의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하게 된다. 유상증자를 발표한 이후 기업의 주가가 거의 하한가까지 곤두박질치는 모습을 자주 목격하곤 한다. 그렇다면 주주 입장에서는 모든 유상증자가 악재인 것일까? 매출 대부분이 수주에서 발생하는 반도체 장비회사가 어느 날 갑자기 고객인 반도체 생산회사로부터 대량의 장비 주문을 수주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그 기업은 반도체 장비 생산에 필요한 운전자본이 당연히 많이 필요할 것이고, 내부 현금이나 외부차입으로는 충분치 않아서 유상증자를 결정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유상증자에 따른 발행주식 수 증가로 주주의 가치가 희석되는 부분도 분명히 있다. 하지만 매출 증가.. 2024. 11.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