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을 파악하는 데 필요한 항목은 크게 6가지다. 기업이 무슨 일을 하고, 무엇을 팔고, 잘 팔고 있는지, 경쟁력과 위험요소는 무엇인지, 마지막으로 투자할 만한 이유가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 이 6가지 항목을 6단계로 파악해 나가다 보면 기업을 향한 관점이 생겨나게 될 것이다.
1. 기업 개요
가장 먼저 이 회사가 어떤 기업인지 큰 틀을 살펴본다. 증권사 기업 소개나 홈페이지를 참고한다. 기업의 지배구조, 본사의 위치, 계열사는 어떤 곳인지, 대표이사는 누구인지, 기업의 한 줄 요약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전체 그림을 그려본다. 기업의 지배구조와 주식 지분율을 확인하는 것도 처음에 할 일이다.
2. 사업과 제품
이 회사가 실제로 어떤 제품을 만들고, 어떤 서비를 제공하는지 살펴본다. 사업보고서에 나와 있는 '사업의 내용' 항목을 참고해 주요 제품군을 정리하고, 매출 비중이 높은 제품은 따로 표시한다. 이 과정에서 '어떤 시장에 속해 있는가?', '최근 주목받는 기술이나 서비스인가?'를 함께 생각해 보면 투자 아이디어로 연결된다. 제품과 관련된 기술도 이 단계에서 파악하면 좋다.
3. 재무제표
초보자로 꼭 봐야 할 숫자가 있다.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어떻게 흘러왔는지 3년~5년 정도 시계열로 정리해 본다. 부채비율, 영업이익률, ROE 같은 기본적인 지표를 포함해서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파악할 수 있는 항목들을 확인한다.
4. 경쟁사 분석
이 회사가 속한 산업에서 누가 경쟁자인지도 중요하다. 국내외 주요 경쟁사를 찾아 비교해보면서 이 회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장점유율이나 브랜드 인지도, 기술력 등에서 강점이 있는지, 경쟁사 대비 어떤 포인트가 눈에 띄는지를 비교한다. 종종 경쟁사의 실적이나 주가흐름도 함께 참고한다.
5. 리스크 요인
아무리 좋아 보여도 리스크는 존재한다. 외부 환경의 변화나 사업 구조의 약점, 의존도가 높은 매출처, 규제 가능성 등을 정리해 본다. 실제로 이 항목을 적는 과정에서 "이게 흔들리면 주가도 크게 흔들리겠구나" 하는 감각이 생기게 된다.
6. 투자포인트 정리
마지막으로 이 기업에 투자할 마음이 들었다면 그 이유를 한 줄로 요약한다. 단순히 숫자가 좋다, 실적이 늘어난다를 넘어서서 이 기업이 가진 성장동력과 앞으로 시장에서 주목받을 수 있는 이유를 언어로 정리하는 단계다.
이런 방식으로 6개 항목을 파악해 나가면서 자료를 정리하다 보면 기업을 차근차근 알아갈 수 있다. 처음부터 완벽하게 분석하려는 부담을 내려놓고, 가장 기본적인 부분에서부터 시작해 점차 조밀하게 스스로의 의견을 만들어 가보자.
Reference
주식투자의 첫걸음은 기업분석부터. 변지희 저. 새로운 제안
2025.05.13 - [가치평가] - 가치투자에 성공하기 위한 열 가지 핵심 요소_1
가치투자에 성공하기 위한 열 가지 핵심 요소_1
1. 시장에 머물러라크리스토퍼 브라운:시장이 좋은 수익을 올려주는 시기들을 놓치지 않기 위해 크리스토퍼 브라운은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되도록 완전히 투자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하려 한다.
blueorbit.tistory.com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적으로 매수하고 보유해야 할 두 기업_AMZN, V (1) | 2025.06.19 |
---|---|
Enbridge: 액체 '슈퍼 시스템'의 기록적인 물량, 점진적 성장 (0) | 2025.06.16 |
돈과 행복의 두 가지 축 (1) | 2025.06.14 |
사건이 아니라 시간에 따라 투자 전략을 점검하라 (0) | 2025.06.14 |
지속 성장이 가능한 주식 투자 (5) | 2025.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