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돈과 행복의 두 가지 축

by Blueorbit 2025. 6. 14.

우리는 보통 돈의 양에 따라  '돈이 많은 사람'과 '돈이 적은 사람'을 '부자'와 '빈자'로 나누는 하나의 축만 생각한다. 부자에 가까워질수록 대체로 행복도가 커지고, 빈자에 가까울수록 대체로 행복도가 낮아진다. 여기에 '돈에 집착하지 않는 사람'과 '돈에 휘둘리는 사람'을 '해방자'와 '종속자'로 나누는 하나의 축을 더해보자. 역시 해방자에 가까워질수록 행복도는 커지고, 종속자에 가까워질수록 행복도는 낮아진다. 이 둘을 합치면 돈의 양을 뜻하는 외부요인과 그 돈을 인식하는 내부요인으로 구성된 2차원의 그래프가 그려진다. 이 그래프가 중요한 이유는 우리의 방향성이 바로 이 그래프에서 시작하기 때문이다. 

 

1 사분면, '이상'형

부자이자 해방자, 돈이 많고 돈에서 해방된 집단이다. 돈의 양과 상관없이 내적 자유를 누리는 '이상적인 상태'인 것이다. 경제적으로 풍족하면서도 돈에 의존하지 않고, 삶의 가치를 진정으로 즐길 줄 아는 사람이 이 그룹에 속한다. 이 그룹의 행복도는 보통 네 개의 유형 중 가장 높고 안정적이며, 돈을 버는 속도는 '중간에서 빠른 정도'이다. 이미 돈이 많고, 돈에서 해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돈을 벌어야겠다는 압박감은 없다. 장기적인 시야를 갖고 새로운 가치 창출과 삶의 질 향상을 중심으로 투자와 사업을 하다 보면 알아서 부가 창출되는 경우가 많다. 돈에 집착하지 않아도 꾸준히 돈이 따라오는 것이다.

 

 

2 사분면, '놀부'형

부자이자 종속자, 그러니까 돈이 많이지만 돈에 종속된 부류다. 이들은 부유하지만 돈에 집착하거나 돈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물질적으로는 풍족하나 더 많은 돈을 좇기 위해 다른 가치를 포기하거나 돈 때문에 불행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이 그룹에 속한다. 이 그룹이 돈을 버는 속도는 네 개의 유형 중 '가장 빠른' 경우가 많다. 이미 보유한 자본을 기반으로 공격적인 태도로 '돈이 되는 일들'을 찾아다니기 때문이다.

 

지속적으로 돈을 벌어야 하는 압박감은 수익 창출 속도를 강력하게 늘려주기도 하지만, 동시에 불필요한 리스크를 안겨주기도 한다. 따라서 단기적으로 빠르게 돈을 벌 수는 있지만, 돈에 대한 심리적 의존이 높아질수록 장기적 안정성은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 또 모종의 이유로 돈을 벌지 못하거나 잃어버리게 되었을 때의 타격도 그만큼 크게 받는다. 행복도는 중간 정도다. 돈은 많지만, 돈의 결핍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삶의 질이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돈이 자존감을 좌우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행복도가 낮다.

 

3 사분면, '좌절'형

빈자이자 종속자, 가진 돈이 적고 심리적으로도 돈에 종속되어 있는 상태다. 경제적으로 부족하고, 돈의 부족함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 하루하루의 생계를 걱정하며 돈의 결핍에 갇힌 사람들이 이 그룹에 속한다. 실패를 경험하기 힘든 경제적 환경 탓에, 다양한 수익 창출 기회를 놓쳐버리기 때문이다. 현재의 상황을 타개하고 싶다는 생각으로 꽉 차 있지만, 괜한 시도를 했다가 얼마 안 되는 돈마저 잃을 수 있다는 심리적 압박을 크게 받는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이나 전략이 부족한 경우 많아 돈을 벌기 위한 뾰족한 수를 내지 못한다. 단기적인 생계에 급급하며, 돈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장기적인 투자를 시도하기 어렵다. 스트레스와 불안으로 인해 '진짜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돈이 없고, 동시에 돈에 종속된 상태이므로 행복도가 가장 낮다. 경제적 결핍과 심리적 불안이 맞물려 스스로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4 사분면, '흥부'형

빈자이자 해방자, 가진 돈은 적지만 돈에서 해방된 사람들의 그룹이다. 물질적으로 풍족하지 않더라도 내적으로는 자유롭다. 소박하게 살면서도 행복과 자율성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여기에 속한다. 이들은 경제적인 부족함이 삶의 질을 크게 좌우하지 않는 방식으로 살아간다. 욕심 없이 꾸준히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여 돈을 벌며, 단기적인 속도보다는 지속 가능성에 초점을 맞춘다. 특색 잇고 소박한 생활 방식을 추구하며, 적정한 수입으로도 충분히 만족한다. 

 

이 그룹이 돈을 버는 속도는 '느림에서 중간' 정도다. 이로 인해 경제적 안정감은 상대적으로 '이상'형보다는 떨어진다. 애초에 가진 자본이 적고, 돈 자체가 삶의 핵심이 아니기에 빠르게 돈이 모이지는 않는다. 하지만 본인이 가진 능력을 온전히 발휘하는 경우가 많기에, 좋은 기회를 잡으면 빠르게 돈을 벌게 되기도 한다. 돈이 많지 않더라도 삶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어 행복도가 높다. 돈이 아니라 자신만의 가치 있는 삶에서 만족감을 얻는다.

 

 

올바른 방향성

돈이 많은데도 항상 돈에 휘둘리고 돈이 줄어드는 것을 불안해한다면, 그는 돈의 결피에 흔들리는 종속자에 가까운 사람이다. 돈은 삶을 윤택하게 해주는 수단이지, 삶의 목적 자체는 아니기 때문이다. 돈의 양을 삶의 최종 목표로 설정하면 끊임없는 불안과 결핍에 시달리게 된다. '완벽한 재정적 안정'은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으며, 돈이 많아지는 속도는 욕심이 커지는 속도를 결코 추월할 수 없다. 한 국가의 왕이라 할지라도 본인이 하고 싶은 걸 다 하기엔 돈이 부족하다고 느낄 것이다.

 

개개인이 가진 '돈의 양'은 완벽히 컨트롤하기 어려운 '외부요인'이다. 돈은 마음먹은 대로 벌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바꾸기 어려운 그래프를 자꾸 들여다봤자 스트레스만 받는다. 하루빨리 부자가 되어 행복한 삶을 살고 싶은데, 그에 대한 답을 도무지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런즉, 대부분의 사람들이 먼저 노려야 하는 것은 '부자'가 아닌 '해방자'다. 외부요인인 '돈의 양'보다 컨트롤하기 쉬운 것이 내 요인인 '돈에 대한 마인드'이기 때문이다. 부자와 빈자는 선택하기 어렵지만, 해방자와 종속자는 우리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돈의 양만 늘어나는 방향이 아니라, 돈의 양도 늘어나고 해방자에도 가까워지는 방향성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Reference

파이어드. 한정수, 강기태 역. 체인지업

 

2025.06.02 - [투자] - 장기 투자와 해방자의 삶

 

장기 투자와 해방자의 삶

투자 근거에 따라 여러분의 투자 방식은 굉장히 달라질 것이다. 여러분이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를 잘 읽어냄으로써 수익을 보는 투자'를 추구한다면 여러분은 투자자들의 커뮤니티나 가격 차

blueorbi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