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장에 머물러라
크리스토퍼 브라운:
시장이 좋은 수익을 올려주는 시기들을 놓치지 않기 위해 크리스토퍼 브라운은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되도록 완전히 투자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하려 한다.
"리서치에 따르면 투자 수익의 8,90%는 전체 보유 기간 중 단지 2~7% 사이에 발생한다고 합니다."
데이비드 드레먼:
드레먼은 시장이 자유낙하할 때에만 현금을 보유하는데 그런 경우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시장을 앞서 가려다가 피해를 본 매니저들이 참 많습니다. 그들은 상승장을 놓치고 말지요."
척 로이스:
시장이 떨어질 때가 돈을 뺄 시기가 아니라 더 투자해야 하는 시기이다. 정액매입법을 사용하면 시장이 좋지 않을수록 더 많은 주식을 보유하게 되므로 기후에 관계없이 계속적으로 투자하면 변동성을 자기편으로 만들 수 있게 된다.
"시장이 떨어지면 포지션을 더 늘려야 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정액매입법입니다."
2. 회사의 소유자처럼 생각해라
거장들은 회사의 주가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기보다는 장기적으로 사업 자체가 향상되고 있는지에 더 신경을 쓴다. 그것이 장기적으로 높은 수익을 남겨주리라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제임스 깁슨:
"스스로를 사업의 장기적 파트너로 생각하면 오래 머물러 있는 것이 행복할 겁니다."
브렛 스탠리:
"우리는 향후 6개월 동안 상승할 회사들을 찾는 것이 아닙니다. 보다 장기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어요. 그 사업이 우리가 참여하고 싶은 사업인지, 가격과 가치 간 차이를 만들어내는 지각과 현실 간의 큰 차이는 없는지에 대해서 생각합니다."
3. 가격에 관심을 기울여라
켄트 시몬스:
"우리 펀드의 PER은 16 정도인데 S&P500에 비해서는 거의 30% 낮고 러셀 100에 비해서는 15% 정도 낮습니다."
짐 기릴건:
"엄밀히 말해서 우리는 PER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가격에 대비한 잠재력을 살펴봅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1996년에 회계 문제가 표면화된 직후에 AOL을 매입했어요. AOL은 그때 수익이 없었지만 가치주였어요."
론 뮬렌캠프:
"장기적으로 좋은 기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어떤 식으로든 가치투자입니다. 저는 성장주에 대해서 프리미엄을 지불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한정 높은 프리미엄을 지불하진 않아요."
데이브 윌리엄스:
"분명한 교훈은 높은 가격을 지불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그게 그때(인터넷 버블) 진행됐던 것이고 현재 고쳐지고 있는 것입니다."
빌 밀러:
"우리는 분명히 가치투자 순수주의자들입니다. 하지만 가치투자 바보들은 아닙니다. 지금까지 우리가 배웠던 것은 단순한 컴퓨터 선별, 즉 낮은 PER, 낮은 PBR, 낮은 현금흐름 대비 가격을 통한 선별 같은 것들이 가치에 대해 많은 것을 얘기해주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그것들은 비싸 보이지만 실제로는 가격에 비해서 훨씬 가치가 있는 위대한 회사들을 많이 놓칠 수 있습니다."
4. 인기 없는 주식을 매입하라
크리스토퍼 브라운:
"예를 들어 1993년 힐러리와 빌 클린턴이 미국의 의료체계를 개정하려고 했을 때 모든 제약주가 낮은 두 자리 수의 PER에서 거래되고 있었습니다. 존슨 앤 존슨의 경우 수익의 12.5배에서 거래되고 있었어요. 당시에는 타이레놀, 밴드에이드, 존슨즈 베이비오일 등의 제품값만으로도 제약업 전부를 살 수 있었죠. 그 정도의 가격이면 공짜나 다름없었습니다."
밥 올스타인:
"투자자들은 항상 투표를 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회사에 대한 일정한 지각을 가지고 있죠. 각 순간의 주식 가격은 당시의 지각에 따라 결정됩니다. 저와 같은 가치투자자들은 그런 지각이 틀렸을 때가 언제인지 그리고 결국 언제 바뀌게 될지를 예측하려고 하죠."
딕 와이스:
"시장은 항상 한 그룹에서 다음 그룹으로 바뀝니다. 이 달에 어떤 것이 유행하면 다음 달에는 다른 것들이 유행하죠. 때때로 회사들이 좋지 않은 성과를 거두면 주가가 떨어지는데 그렇다고 항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회사가 흥미로운 분야가 아니거나 월스트리트에 환상을 불러일으키지 못하기 때문에 그럴 수도 있거든요. 그게 시장이 돌아가는 방법입니다."
케빈 오보일:
"인수를 한 회사가 종종 그 인수 때문에 큰 어려움을 겪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가격을 너무 많이 지불해서 수익이 악화될 수도 있고 문화적 측면이나 지역적 측면에서 인수된 회사를 통합시키는 데 실제로 문제를 겪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 예상했던 것보다 운영비용이 훨씬 많이 들죠."
밥 퍼킨스:
"많은 사람들이 반도체 산업이 순환적이라는 것을 잊고 있습니다. 우리는 사이클이 다시 좋아지면 이 회사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살펴봅니다. 예전에는 수익의 3, 40배에서 거래되었는데 수익의 8~10배에서 거래되고 있는 주식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장기적인 성장은 그 주식이 최고가에 있을 때만큼 강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장기적인 성장률이 30~40%가 된다는 것은 소설에나 나올 만한 얘기입니다. 이 업계에 있는 동안 저는 한 번도 오랫동안 30~40%로 성장하는 회사를 보지 못했습니다. 아마도 장기적인 성장률은 20~25% 일 것입니다. 문제점이 해결된다면 월스트리트는 그런 정도의 성장읗 하는 회사의 가격을 수익의 20~25배 정도로 쳐줄 겁니다."
5. 포트폴리오를 개별 회사부터 시작해서 구성하라
케빈 오보일:
"우리는 개별 회사를 기준으로 각 회사를 살펴봅니다. 어떤 회사의 전망을 평가할 때는 분명히 거시경제적 환경을 고려하지만, 전체 시장만 살펴보지는 않아요."
장 마리 에베이야르:
'어떤 나라 혹은 어떤 부문이 저평가되었는지는 신경 쓰지 않습니다."
론 뮬렌캠프:
"한 분야에 많은 회사들이 있으면 그때 고려해 볼 만한 일잔적인 테마가 있는지 살펴봅니다. 그것은 수익성이 예전보다 증가했지만 사람들이 아직 그것을 깨닫지 못해서인가? 아니면 정치적 위험 때문인가? 그걸 이해할 수 없으면 조사를 좀 더 해봐야죠."
Reference
가치투자를 말한다. 커크 카잔지안 저. 김경민 역. 이콘
'가치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익잉여금의 재투자와 가치평가 (0) | 2024.12.10 |
---|---|
기업 라이프사이클과 내러티브_내러티브 앤 넘버스 (0) | 2024.11.25 |
내러티브에서 확인할 사항_내러티브 앤 넘버스 (2) | 2024.11.11 |
Clean Surplus(클린 서플러스) ROE의 활용 (0) | 2024.05.24 |
가격 산정 방법: 투자 회수 기간_잉여현금흐름 기준 (0) | 2024.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