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BR1 장부가(Book Value)를 이용한 가치평가의 장단점 우리는 용도가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계산하기 쉬운 주당 장부가를 정기적으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시가로 장부에 계상된 유가증권은 우리의 장부가를 왜곡시키지 않습니다. 그러나 자회사의 경우, 우리 장부에 계상된 그들의 가치와 그들의 내재가치가 매우 다를 수 있으며, 따라서 우리 장부가를 왜곡시킬 수 있습니다. 이런 왜곡은 두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964년 버크셔의 주당 장부가는 19.46달러로 보고되었습니다. 그러나 그 수치는 회사의 내재가치를 상당히 과대 평가한 것이었습니다. 왜냐하면 당시 회사의 모든 자원이 수익성이 약한 섬유사업에 묶여 있었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섬유자산은 장부가만큼의 계속기업가치(going-concern value, 해당 영업활동을 계속할 경우 창출될 수익가치)나 .. 2024. 3. 1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