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차트2

시가, 고가, 저가, 종가, 변동, 범위 어느 날 누군가 내게 물었다. 왜 기술적 분석을 믿어야 하느냐고. 이 질문에 답하려면 그가 어떤 유형의 증거를 받아들일지부터 알아내야 한다. 그래서 나는 물었다. "경제학을 신뢰하시나요?" 그는 단호하게 그렇다고 대답했다. 나는 기술적 분석이 시장에서 작동하는 수요 공급의 법칙이라고 설명했다. 이를테면 주식의 거래량은 언제나 매도 거래량과 일치한다. 주가가 상승하면 수요가 공급을 초과했다는 것, 즉 매수자들이 시장을 장악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주가가 하락하면 공급이 수요를 초과했다는 것, 즉 매도자들이 시장을 장악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간이 흐르면서 수요와 공급의 추세는 매집 및 분산 추세와 패턴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주가 추세의 내면을 깊숙이 들여다보고 현재 주가가 거래량의 지지를 받.. 2024. 1. 10.
캔들차트의 패턴_기본 형태 국내 차트 분석의 교과서라고 할 수 있는 '차트의 기술'에서 소개하는 캔들차트의 기본 형태와 패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Long Days 시가와 몸통의 차이, 즉 몸통이 이전 캔들차트에 비해 상당히 큰 것을 말하며 주로 그림자보다 캔들의 몸통 길이가 큰 경우이다. 하루 동안 시가와 종가의 차이가 크게 나는 형태다. 2. Short Days Long days와 대조적인 형태로 하루 중 시가와 종가의 차이, 즉 몸통이 이전 캔들에 비해 작거나 거의 없는 형태를 말한다. 3. Spinning Tops 몸통의 길이에 비해 그림자의 길이가 상당히 긴 형태의 캔들이다. 강세와 약세의 형세가 애매한 국면에서 매수세와 매도세가 팽팽한 눈치를 보일 때 나타난다. 주로 추세 전환 국면이나 지지나 저항이 크게 작용하는 .. 2023. 10.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