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치평가

가치투자자가 신뢰성 기준(Accounting reliability)을 중요시하는 이유

by Blueorbit 2025. 11. 18.
반응형

C2.12. Accounting reliability

가치분석 애널리스트들은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데에 있어 왜 회계사들이 신뢰성 기준을 따르기를 바라는가?

- Reference.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man

 

문제 풀이

Accounting reliability(신뢰성 기준)은 회계 정보가 객관적이고 검증 가능하며 조작을 최소화한 방식으로 보고되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Reliability는 다음 요소를 포함한다:
객관성, 검증 가능성, 중립성, 일관성

-> 기본적으로 “누가 봐도 같은 결론에 도달할 수 있는 숫자”를 의미한다.

 

Fundamental analyst(기본적 분석가)는 기업의 내재가치, 수익력, 수익률, 자본배분의 질 등을 평가하기 위해 회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다.

따라서 회계 정보가 신뢰할 수 없으면 기업 가치평가는 애초에 성립할 수 없다.

 

 

만약 회계 정보가 추정과 임의성에 의해 크게 흔들린다면 이익, 자산, 부채, ROE, P/B, P/E 같은 핵심 지표가 모두 왜곡되어
내재가치 분석이 무의미해진다.

즉, reliability는 “투자자가 믿을 수 있는 숫자를 제공하라”는 요구다.

 

실무상 재무상태표에서 자산을 과소평가하거나 반영하지 않는 것을 보수주의회계(Conservative accounting)이라고 한다.
보수주의회계는 자산의 가치를 펴가할 때는 보수적이어야 하며 자산의 가치를 추정하지 말라는 것이다.
따라서 어떠한 자산에 대해 불확실성이 있다면 그 자산은 아예 기록을 해서는 안 된다.
보수주의회계 원칙하에서는 회계사들은 자산의 가치를 평가 절하할 수는 있어도 평가 절상하지는 않는다.
- 재무제표 분석과 가치평가 p. 63. Stephen H. Penman 저

 

# 가치를 구하는 방법

2025.11.15 - [가치평가] - Value = Book value + Extra value

 

Value = Book value + Extra value

E1.3 가치와 가격의 괴리에 따른 매수, 매도한 회사는 2천5백만의 유통 주식과 함께 8억 천만 달러에 달하는 주주 자본 장부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발표했다.이러한 주식들은 주식시장에서 주당 45

blueorbit.tistory.com

 

왜 Reliability와 Relevance는 충돌하는가?

회계 정보의 질(quality)은 크게 두 가지 기준으로 평가된다.
첫째, Reliability(신뢰성): 누구나 검증 가능한, 조작 불가능한 숫자인가?
둘째, Relevance(관련성): 투자자 의사결정에 유용한, 경제적 가치를 잘 반영한 정보인가?

 

이 두 기준은 이상적으로는 동시에 충족되어야 하지만 현실에서는 서로 충돌(conflict)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경제적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려면 추정·판단이 필수인데, 추정이 들어가는 순간 신뢰성은 약해지기 때문이다.

 

1. 경제적 가치에 가까운 숫자는 대부분 “추정치”이다

브랜드 가치, 무형자산 가치, 미래 현금흐름, 고객 생애가치(LTV)
이런 항목들은 기업의 가치를 잘 반영하므로 “관련성(Relevance)”은 높다.
하지만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없기 때문에 “신뢰성(Reliability)”은 낮아진다.

추정이 많을수록 재무제표는 관련성은 증가하지만 신뢰성은 감소한다.

2. 신뢰성을 높이면 장부는 ‘과거 원가(Historical Cost)’ 중심이 된다

신뢰성 높은 정보란 영수증, 실제 지급 현금, 계약 문서처럼 “확정된 과거 사실”을 기반으로 한 숫자이다.
문제는 과거 원가 정보는 현재 가치를 거의 반영하지 못한다.
즉, 신뢰성은 증가하지만 관련성이 감소한다.

예를 들어, 80년 전에 5달러에 산 코카콜라 브랜드 가치는 장부에는 0원으로 기록하지만 실제 가치는 수천억 달러다.

 

 

3. 무형자산 시대에서는 Relevance와 Reliability가 구조적으로 충돌한다

무형자산(소프트웨어, 알고리즘, 데이터, 브랜드, 네트워크)은 현대 기업가치의 80~95%를 차지한다.
그러나 회계는 대부분을 즉시 비용 처리하거나 0원으로 잡는다.
신뢰성 문제 때문이고, 측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 결과 기업의 진짜 가치(Relevance)는 회계에 반영되지 않는다(Reliability 우선).

 

4. 공정가치(Fair Value) 회계는 Relevance를 높이지만 Reliability를 흔든다

예: 부동산을 시장가치로 재평가
예: 파생상품을 시장가치로 평가

경제적 가치를 반영해 관련성은 올라가지만 평가모델, 가정, 추정치가 많아져 신뢰성은 떨어진다.

 

# 공정가치 이해하기

2025.09.14 - [가치평가] - 공정가치(Level 1, 2, 3) 이해하기

 

공정가치(Level 1, 2, 3) 이해하기

들어가며기업 재무제표를 읽다 보면 Level 1, Level 2, Level 3 공정가치 측정이라는 낯선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된다. 이는 기업이 보유한 자산과 부채를 어떤 기준으로 평가했는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blueorbit.tistory.com

 

5. 경영진의 재량이 많아질수록 Relevance는 올라가고 Reliability는 위험해진다

예: 대손충당금 추정, 감가상각 기간 설정, 무형자산 상각, 재고 평가, 공정가치 모델 선택

 

추정이 많으면 경제적 실체는 잘 반영된다(관련성 증가).
하지만 CEO가 의도적으로 이익을 조작할 수 있어 신뢰성은 낮아진다.

 

정리

Fundamental analyst가 reliability 기준을 요구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신뢰성 있는 회계 정보는 내재가치를 추정하는 기초다.
2. 추정이 많고 주관이 개입된 회계는 이익과 자산을 왜곡한다.
3. 조작 가능성이 큰 숫자는 ROE, P/E, P/B 같은 모든 지표를 흔든다.
4. 분석가가 경제적 성과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려면 검증 가능한 객관적 숫자가 필수다.
5. reliability가 확보되어야 기업 간 비교와 장기적 투자 전략이 가능하다.


# 무형자산의 상각에 대해 알아보기

2025.11.17 - [가치평가] - 무형자산의 상각

 

무형자산의 상각

C2.10. 특허권특허권의 상각은 회사 운영의 가치 증분을 측정하는데 적절한 비용인가?- Reference.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man 문제 풀이특허권(patent right)은 기업이 일정

blueorbit.tistory.com

 

# 수익비용 대응의 원칙이 중요한 이유 보기

2025.11.17 - [가치평가] - 수익비용 대응의 원칙(Matching principle)이 중요한 이유

 

수익비용 대응의 원칙(Matching principle)이 중요한 이유

C2.11. Matching principle수익비용 대응의 원칙은 왜 중요한가? - Reference.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man 문제 풀이Matching principle(수익비용 대응의 원칙)은 어떤 수익을 창출하

blueorbi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