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치평가

Value = Book value + Extra value

by Blueorbit 2025. 11. 15.
반응형

E1.3 가치와 가격의 괴리에 따른 매수, 매도

한 회사는 2천5백만의 유통 주식과 함께 8억 천만 달러에 달하는 주주 자본 장부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주식들은 주식시장에서 주당 4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한 애널리스트는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해 주식 가치를 계산하고 있다:
가치(Value) = 장부가치(Book value) + 추가 가치(Extra value)
그는 추가 가치를 6억 7천5백만 달러로 보고 있다.
이 애널리스트는 그의 고객들에게 매입과 매도 중 어떤 권고를 해야 할까?

-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man

 

개념 설명

이 문제는 ‘애널리스트가 산정한 내재가치(V)와 시장가격(P) 중 무엇이 더 높은가?’를 판단해서 매수 또는 매도 의견을 내리는 기본적인 가치평가 문제다.

 

애널리스트의 밸류에이션 방식은 다음과 같은 Penman 식 산출 구조다.

Value = Book value + Extra value

 

여기서 Book value는 장부가치(자기자본 장부금액), Extra value는 장부가치 대비 초과가치 또는 초과수익력에서 기인하는 가치이다.

 

만약 Value per share가 주가보다 높으면 매수, 낮으면 매도 의견이다.

 

문제풀이

Book value = 850 million

Extra value = 675 million

Analyst’s valuation = 850 + 675 = 1,525 million

여기서 회사 전체의 내재가치는 1,525 million이다.

 

주식 수는 25 million주이므로,

Valuation per share = 1,525 / 25 = 61달러

 

현재 시장가격 = 45달러

 

따라서 애널리스트가 평가한 1주 가치(61)가 실제 시장가격(45) 보다 훨씬 높다.
즉 시장이 저평가하고 있으므로 Buy 의견이 나와야 한다.

 

대가들은 언뜻 보기에 매력적인 주식이라고 아무거나 덥석 매수하지 않는다.
매우 까다롭게 선별한다.
주식 투자의 성공이 까다롭게 선택하고 선택하고 주가가 떨어질 주식을 회피하는 데 크게 달려 있음을 안다.
투기나 검증되지 않은 사업, 사실상 복권과도 같은 주식에는 관심이 없다.
투자업계가 경쟁이 치열하고 효율적인 곳이기 때문에 진정으로 탁월한 주식을 계속해서 찾아내려면 경쟁우위가 있어야 함을 잘 안다.
즉, 남들보다 더 열심히 일하거나 자신이 강점 있는 분야에 집중해야 한다.
그리고 실수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충분히 매력적인 가격에 매수해 안전 마진을 충분히 확보하려고 한다.
- 초과수익 바이블 p.238.  프레더릭 반하버비크

예시

비슷한 구조를 갖는 실제 상황을 가정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배당주가 꾸준한 초과이익력으로 ROCE가 높아 Extra value가 크게 잡히는데, 시장에서는 단기 경기 둔화 이슈 때문에 주가가 눌려 있다고 하자.
장부가치가 100, 초과가치가 80이라면 전체 가치는 180이지만, 시장가격이 130이라면 이 역시 내재가치보다 저렴한 구간이다.
이 경우 초과가치 기반 모델을 쓰는 펀더멘털 투자자라면 매수 의견을 내릴 수 있다.
워런 버핏도 “순이익을 현금처럼 보지 말고, 장기 초과수익력에서 오는 가치를 보라”라고 말했는데, 이 문제의 Extra value가 바로 그 초과수익력의 정량화된 가치다.

 

정리

애널리스트가 계산한 주당 내재가치(61)가 주가(45) 보다 높으므로, 이는 명백한 저평가 국면이다.

따라서 애널리스트의 권고는 Buy가 되어야 한다.

문제의 핵심은 Extra value가 실제 가치와 시장가격 차이를 얼마나 메울 수 있는지를 보는 것이며, 평가가 정확하다면 시장이 기업의 초과이익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상태라고 해석할 수 있다.


랜덤워크이론에 대해 알아보기

2025.11.09 - [가치평가] - Random Walk Theory에서 가정하는 것

 

Random Walk Theory에서 가정하는 것

C1.7. Random Walk Theory주식평론가들은 주가는 랜덤워크를 따른다고 주장한다. 이는 주가가 미래에 어떻게 변할지 아무도 알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그 누구도 비정상수익을 얻을 수 없다는 말

blueorbit.tistory.com

 

알파와 베타란?

2025.11.06 - [가치평가] - Alpha technology와 beta technology

 

Alpha technology와 beta technology

C1.2. 알파 기술(alpha technology)과 베타 기술(beta technology)의 차이는 무엇인가? -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man 알파 기술(Alpha Technology)알파 기술은 가치와 가격의 차이를

blueorbi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