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치평가

주가매출액비율(Price to sales ratio, PSR)

by Blueorbit 2025. 11. 11.
반응형

C3.1. Price to sales ratio

어떤 요소로 인하여 회사마다 주가매출액비율의 차이가 발생하는가?

Reference: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man

 

PSR이란

기업의 Price-to-Sales Ratio (P/S 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P / S = 주가 / 주당매출 = 시가총액 / 총매출

 

즉, 시장이 매출 1달러(또는 1원)를 얼마로 평가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하지만 단순히 “매출 대비 얼마나 비싸냐”는 정보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P/S 비율의 차이는 기업의 수익성, 성장성, 리스크, 자본집약도 등 여러 요인으로 할 수 있다.

 

이익이 미미하거나 아예 없는 기업, 또는 이익이 기업의 진정한 수익 창출 능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기업이 회생 중이거나, 경기에 민감한 기업이 최근 심각한 경기침체의 직격탄을 맞은 경우 등)를 분석할 때 애널리스트들은 PSR을 사용한다.
하지만 꼭 이런 경우에만 국한할 필요는 없다.
사실 PSR이야말로 주식시장에서 헐값으로 떨어진 주식을 찾아내는 데 제일 유용한 밸류에이션 척도다.

PSR의 강점은 PER이나 PCR에 비해 훨씬 안정적이라는 점이다.
PSR은 이윤 폭이나 자본적 지출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이익을 조작하더라도 크게 바뀌지 않는다.
- 초과수익 바이블 p.217. 프레더릭 반하버비크 저.

 

이익률 (Profit Margin)

두 기업의 매출이 같더라도 순이익률이 다르면 주가 수준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순이익률이 10%인 기업은 매출 1달러당 0.10달러의 이익을 내지만, 순이익률이 2%인 기업은 0.02달러밖에 남기지 못한다.

따라서 시장은 첫 번째 기업의 매출 1달러를 더 높게 평가한다. 

→ P/S가 높아진다.

 

성장률 (Growth Rate)

향후 매출이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 현재 매출 1달러의 가치가 더 크다.

고성장 산업(예: 클라우드, 바이오)은 P/S 비율이 자연스럽게 높다.

 

# EPS 계산시 분모는? 보기

2025.11.16 - [가치평가] - 순이익(Net income) vs. 보통주귀속 이익(Net income available to common)

 

순이익(Net income) vs. 보통주귀속 이익(Net income available to common)

C2.3 순이익(Net income) vs. 보통주귀속 이익(Net income available to common)순이익과 보통주귀속 이익의 차이를 설명하라.주당순이익을 계산하는데 어떤 이익이 사용되는가?- Reference.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blueorbit.tistory.com

 

자본집약도 (Capital Intensity)

자본을 많이 투입해야 매출이 발생하는 산업(예: 철강, 항공)은 수익률이 낮고, P/S 비율이 낮다.

반대로 자본투입이 적고 마진이 높은 산업(예: 소프트웨어)은 P/S가 높다.

 

위험도 (Risk & Stability)

불황에 민감한 산업(예: 자동차, 건설)은 P/S가 낮고, 안정적인 산업(예: 소비재, 헬스케어)은 높다.

투자자는 확실한 이익 창출이 가능한 기업에 더 높은 배수를 부여한다.

회계정책 및 수익인식 구조 SaaS 기업처럼 ‘매출 인식 시점’이 지연되는 경우 P/S가 왜곡될 수 있다.

같은 매출이라도 현금 흐름 구조가 다르면 시장의 평가가 달라지는 것이다.

 

한 가지 단점은 다른 가치 척도들과는 달리 기업의 자본 구조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부채비율이 상이한 기업들도 PSR은 비슷할 수 있다.
더욱이 아직 이익을 내지 못한 기업에 PSR을 적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할 수도 있는데, 
이익을 내보기도 전에 보유한 현금을 모두 소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초과수익 바이블 p.217. 프레더릭 반하버비크 저.

예시

기업 산업 순이익률 매출성장률 PSR
Microsoft 소프트웨어 35% 12% 약 13배
Walmart 소매유통 3% 4% 약 0.7배
Tesla 자동차/AI 9% 25% 약 7배
ExxonMobil 에너지 8% 3% 약 1배

 

Microsoft는 높은 마진과 안정적 성장으로 매출 1달러당 13달러로 평가받음.

Walmart는 마진이 낮고 자본집약도가 높아 매출 1달러당 0.7달러만 평가됨.

Tesla는 미래 성장 기대가 커서 매출 대비 높은 주가.

ExxonMobil은 경기순환형 산업으로 P/S가 낮음.

 

이 차이는 결국 “매출이 이익으로 얼마나 전환되는가(마진)”와 “그 이익이 얼마나 지속가능한가(성장성)”의 복합결과다.

 

정리

P/S 비율은 단순한 매출 대비 가격이 아니라, 기업의 수익성, 성장성, 위험, 자본집약도의 종합적 평가 결과이다.

따라서 기업 간 P/S의 차이는 다음으로 요약할 수 있다.

요인 영향
높은 이익률 P/S 상승 (매출 1달러당 이익이 많음)
높은 성장성 P/S 상승 (미래 매출 가치가 큼)
낮은 자본집약도 P/S 상승 (효율적 비즈니스 모델)
높은 리스크 P/S 하락 (시장 할인 반영)
회계 구조 왜곡 산업별 P/S 비교 시 주의 필요

결국, P/S는 매출 단위당 기대 이익의 현재가치를 반영한 결과이며, 기업의 경제적 해자(Moat), 수익 구조, 성장 스토리를 모두 압축한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주주 환원 방법 보기

2025.11.10 - [가치평가] - 주주 환원에는 어떤 방법들이 있을까

 

주주 환원에는 어떤 방법들이 있을까

C2.2. 주주 환원 방법배당은 주주들에게 현금을 지급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이 문장은 맞는 말일까? -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man 문제 풀이질문은 “주주에게

blueorbi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