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치평가

회계 관계의 적용: 재무제표의 연결

by Blueorbit 2025. 11. 18.
반응형

E2.1. 회계 관계의 적용

다음은 모두 같은 회사에 관한 문제들이다.

a. 재무상태표는 회계기간 말에 4억 달러의 총 자산과 2억 4천만 달러의 주주 자본을 나타내고 있다.
회사의 부채는 얼마인가?
b. 한 기간  동안 손익계산서에 3천만 달러의 순이익과 1억7천5백만 달러의 총비용이 기입되어 있다.
회사의 수익은 얼마인가?

c. 자본변동표에 따르면 주주의 자본 기초잔액이 2억3천만 달러, 주주 순배당은 1천2백만 달러이다.
당해연도 회사의 포괄손익은 얼마인가?
손익계산서보다 자본변동표에 얼마의 이익이 있었는가?
d. 당해 회계기간 동안 주식 발행이나 자사주매입이 없을 시 회사가 배당으로 얼마를 지급했는가?

- Reference.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man

 

문제 풀이

a. 재무상태표 관계식

기업의 한 시점 재무상태는 '자산 = 부채 + 자본'으로 정리된다.
자산은 “기업이 가진 것”, 부채는 “남에게 갚아야 할 것”, 자본은 “주주 지분”이다.
따라서 자산과 자본이 주어지면, 부채 = 자산 – 자본 공식으로 바로 계산할 수 있다.
이 관계식은 항상 성립해야 하므로, 재무상태표 숫자 체크의 기준이 된다.

 

부채(총 차입·채무) 계산

자산 = 400, 자본 = 250

자산 = 부채 + 자본이므로
부채 = 자산 – 자본 = 400 – 250 = 150
따라서 부채는 150 million이다.

즉, 이 회사는 400 중 150은 빚으로, 250은 주주지분으로 조달한 상태다.

 

 

b. 손익계산서 기본식

손익계산서는 한 기간 동안의 성과를 보여준다.
기본 구조는 '수익 – 비용 = 순이익'이다.
수익은 매출, 이자수익 등 “벌어들인 것”, 비용은 급여, 감가상각, 이자비용, 법인세 등 “소비한 것”이다.
순이익은 그 차이로서 “주주에게 귀속되는 성과”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순이익과 비용이 주어지면, 수익 = 순이익 + 비용으로 역산할 수 있다.

 

수익(매출) 계산

순이익 = 30, 총비용 = 175

수익 – 비용 = 순이익
→ 수익 = 순이익 + 비용
따라서 수익 = 30 + 175 = 205 million
즉, 이 기간에 205를 벌어들이고, 그중 175를 각종 비용으로 쓰고, 30이 주주에게 남았다.

 

# 수익비용 대응의 원칙이 중요한 이유 알아보기

2025.11.17 - [가치평가] - 수익비용 대응의 원칙(Matching principle)이 중요한 이유

 

수익비용 대응의 원칙(Matching principle)이 중요한 이유

C2.11. Matching principle수익비용 대응의 원칙은 왜 중요한가? - Reference.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man 문제 풀이Matching principle(수익비용 대응의 원칙)은 어떤 수익을 창출하

blueorbit.tistory.com

 

c. 자본변동표와 포괄손익

기초 자본에서 시작해서, 그 해 동안의 변화를 모두 반영하면 기말 자본이 나온다.
이때 자본의 변화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1. 포괄손익(당기 성과)

2. 주주와의 거래(배당, 유상증자, 자사주 매입 등)

3. 기타 조정(회계정책 변경 누적효과 등, 여기서는 무시)


이 문제에서는 간단히 '기말 자본 = 기초 자본 + 포괄손익 – 주주에 대한 순지급(Net payout)'으로 이해하면 된다.

여기서 '포괄손익 = 당기순이익 + 기타포괄손익(OCI)' 이다.
당기순이익은 손익계산서에, 기타포괄손익은 자본변동표에 직접 잡힌다. 

 

 

포괄손익과 기타포괄손익(자본변동표에만 잡힌 소득)

기초 자본 = 230, 기말 자본 = 250, Net payout = 12

 

기말 자본 = 기초 자본 + 포괄손익 – Net payout

⇒ 포괄손익 = 기말 자본 – 기초 자본 + Net payout

= 250 – 230 + 12 = 32 million

따라서 포괄손익은 32이다.

 

이 중 손익계산서에 보고된 당기순이익은 30이므로,
기타포괄손익(OCI) = 포괄손익 – 순이익 = 32 – 30 = 2 million
즉, 2 million만큼의 이익이 손익계산서가 아니라 자본변동표의 “기타포괄손익 누계액” 같은 항목으로 직접 잡혀 있다는 뜻이다.

 

d. 배당과 Net payout

Net payout to shareholders = 배당 – 신규 주식발행 + 자사주 매입
문제에서 “주식 발행·자사주 매입 없음”이라고 했으니, Net payout = 배당금과 동일하다.
그래서 자본변동표 쪽에서 바로 배당을 읽어낼 수 있다.

 

 배당금

“주식 발행도 없고 자사주 매입도 없다”라고 했으므로
Net payout = 배당금
따라서 배당 = 12 million이다.

 

 

정리

a. 재무상태표: 자산 400, 자본 250이므로 부채는 150
b. 손익계산서: 순이익 30, 비용 175이므로 수익은 205
c. 자본변동표: 기초 230, 기말 250, Net payout 12를 이용하면 포괄손익은 32
   이 중 순이익 30은 손익계산서, 나머지 2는 자본변동표(기타포괄손익)에서만 보인다.
d. 주식 발행·자사주 매입이 없으므로 Net payout 12는 곧 배당금 12이다.


# 가치투자자가 신뢰성 기준을 중요시하는 이유 보기

2025.11.17 - [가치평가] - 가치투자자가 신뢰성 기준(Accounting reliability)을 중요시하는 이유

 

가치투자자가 신뢰성 기준(Accounting reliability)을 중요시하는 이유

C2.12. Accounting reliability가치분석 애널리스트들은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데에 있어 왜 회계사들이 신뢰성 기준을 따르기를 바라는가?- Reference.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

blueorbit.tistory.com

 

# 주주 환원 방법들 알아보기

2025.11.10 - [가치평가] - 주주 환원에는 어떤 방법들이 있을까

 

주주 환원에는 어떤 방법들이 있을까

C2.2. 주주 환원 방법배당은 주주들에게 현금을 지급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이 문장은 맞는 말일까? -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man 문제 풀이질문은 “주주에게

blueorbi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