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 2.6 수익비용 대응의 원칙의 위배
GAAP는 개념적으로 수익비용 대응의 원칙을 따른다.
GAAP에 따르는 다음의 회계 법칙들은 왜 수익비용 대응의 원칙에 위배되는지 설명하라.
a. 새로운 약에 대한 연구개발비 지출은 발생함에 따라 손익계산서의 비용으로 처리된다.
b. 새로운 제품에 대한 광고와 프로모션비는 발생됨에 따라 비용으로 처리된다.
c. 영화 제작비는 극장에서 상영되기 전에 비용처리가 된다.
- Reference.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man
문제 풀이
수익비용 대응의 원칙(Revenue matching princple)이란 특정 기간의 수익과 그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발생한 비용을 같은 기간에 대응시키는 개념이다.
즉, 수익이 발생할 때 비용을 함께 기록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그러나 GAAP은 회계의 보수주의, 측정의 신뢰성, 미래 효익의 불확실성을 이유로 이 원칙을 철저히 따르지 않는 항목들이 존재한다.
이번 문제의 세 항목은 모두 “미래에 수익이 발생할 가능성은 있지만, 그 가능성을 신뢰할 수 없거나 측정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매칭 대신 즉시 비용 처리하는 경우이다.
a. 신약 연구개발비를 발생 시점에 비용 처리하는 이유
연구개발비는 미래 경제적 효익을 가져올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가능성도 매우 크다.
임상 실패, 규제 승인 실패 등 불확실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연구개발을 특정 수익과 확실하게 매칭하기 어렵다.
따라서 GAAP은 “미래 수익과의 인과관계를 신뢰할 수 없음”을 이유로 매칭원칙보다 보수적 신뢰성 원칙을 우선시하고 발생 시점 비용 처리를 요구한다.
이는 매칭원칙을 따르지 않는 대표적 사례이다.
# 회계항목을 분류하기
2025.11.20 - [가치평가] - 회계항목 분류하기
회계항목 분류하기
E 2.5 회계항목의 분류GAAP에 따라 다음은 재무제표에서 어떠한 항목으로 분류되는가? - Reference.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man a. 단기 만기 CD 투자재무상태표. 기업이 90
blueorbit.tistory.com
b. 신제품 광고·프로모션 비용을 즉시 비용 처리하는 이유
광고는 장기적 브랜드 가치나 향후 매출 증가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기여도가 언제, 얼마나 나타날지 특정 제품과 특정 기간에 명확하게 배정하기 어렵다.
즉, 특정 매출과 광고비를 매칭할 수 없기 때문에 GAAP은 광고비의 즉시 비용화(발생 시점 비용 처리)를 요구한다.
이것도 매칭원칙을 위반한다.
광고는 미래 수익을 위한 투자적 성격이 있지만 매칭이 불가능해 신뢰성 원칙이 우선된다.
c. 영화 제작비를 극장 개봉 전에 비용 처리하는 이유
영화 제작비는 논리적으로는 개봉 후 매표 수익과 매칭하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
그러나 영화 산업은 흥행 여부에 따른 불확실성이 매우 큰 산업이다.
GAAP은 영화 제작 초기 단계에서 언제, 얼마나 수익이 발생할지 예측하기 어렵다고 보고, 상영 전까지의 제작비를 즉시 비용화하도록 요구해 왔다.
개봉 이후에 수익이 발생하더라도, 발생 시점에 비용을 나누어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일찍 비용 처리를 해 버린다는 점에서 매칭원칙을 위반한다.
정리
세 항목 모두 미래 수익이 존재할 수 있지만, 그 수익의 금액과 시기를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없다는 공통점이 있다.
따라서 GAAP은 매칭원칙 대신 보수주의와 신뢰성 원칙을 우선하여 발생 시점에 비용 처리하도록 한다.
연구개발비, 광고·판촉비, 영화 제작비는 회계적으로는 매칭원칙 위반 사례이지만,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한 보수적 처리로 이해해야 한다.
# 가치투자자가 신뢰성 기준을 중요시하는 이유 보기
2025.11.17 - [가치평가] - 가치투자자가 신뢰성 기준(Accounting reliability)을 중요시하는 이유
가치투자자가 신뢰성 기준(Accounting reliability)을 중요시하는 이유
C2.12. Accounting reliability가치분석 애널리스트들은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데에 있어 왜 회계사들이 신뢰성 기준을 따르기를 바라는가?- Reference.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
blueorbit.tistory.com
'가치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회계관계의 이용: General Mills 사례 (0) | 2025.11.23 |
|---|---|
| 회계관계를 이용해서 재무제표의 오류 점검하기 (1) | 2025.11.23 |
| 회계항목 분류하기 (0) | 2025.11.20 |
| 손익계산서와 자본변동표 작성하기 (0) | 2025.11.19 |
| 이익의 유보, 인출, 투자에 따른 재무제표 작성 (0) | 2025.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