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주식 매수 체크리스트: 재무 기둥 (Financial Pillar)

by Blueorbit 2025. 8. 3.

지난 글에서는 주식 매수 체크리스트의 네 가지 기둥 중 비즈니스 기둥(Business Pillar), 경영진 기둥(Management Pillar)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재무 기둥(Financial Pillar)에 대해 알아보자. 기업의 재무 건전성에 초점을 맞추며, 10-K와 10-Q 보고서의 재무제표를 분석하는 데 시간을 투자하는 항목이다.

재무 기둥 (Financial Pillar)

1. 재무제표를 한 줄씩 분석한다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를 한 줄씩 면밀히 읽는다. 최소 두 개 이상의 연차보고서를 비교하며 엑셀 또는 선호하는 재무 데이터 웹사이트를 활용해 수치 추이를 확인한다. 상승 추세인지 하락 추세인지 파악하고, 경쟁사와 수치를 비교해 기업의 상대적 강점을 평가한다.

2. 어떤 주요 사업 운영 지표를 주목해야 하는가?

각 산업마다 유용한 핵심 지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은행 같은 금융사는 주가순자산비율(P/B)이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기업의 펀더멘털이 개선되고 있는지 악화되고 있는지 판단하려면 적절한 운영 지표를 활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음 과정을 진행한다:

  • 산업별 핵심 지표를 찾는다.
  • 10-K, 10-Q 등 지표 출처를 파악한다.
  •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해 시간에 따른 변화를 추적한다.
  • 변화가 영구적인지 일시적인지 판단한다.
  • 경쟁사와 비교해 차이 원인을 분석한다.

3. 기업이 직면한 주요 리스크 식별한다

10-K 보고서의 위험 요인 섹션과 경영진 논의 부분에서 기업이 직면한 주요 리스크를 찾을 수 있다.
주가 변동과 관련된 리스크도 있지만, 기업 자체와 관련된 리스크가 더 중요하다. 형식적인 문구가 많으므로 주의 깊게 읽으며 중요한 내용과 무시해도 되는 내용을 구분해야 한다.
기업 고유의 리스크를 목록화하고, 각 리스크가 기업 가치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평가한다. 또한 경쟁사의 리스크를 비교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면 유용하다.

4. 재무상태표의 강점과 약점을 평가한다

건전한 재무상태표를 가진 기업은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경기 침체 상황에서도 생존할 가능성이 높다. 건강한 재무구조는 경기 상황과 무관하게 기회를 활용할 수 있는 여력을 제공한다.

핵심 목표는 현금흐름이 부채 상환을 충족할 만큼 충분한지, 현금흐름이 감소하더라도 부채를 감당할 수 있는 안전 마진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비율을 활용한다:

  • EBITDA / 이자비용
  • EBIT / 이자비용
  • 영업활동현금흐름 / 이자비용
  • 유동자산 / 유동부채
  • 부채비율(부채/자기자본, 부채/총자산)

또한 Moody’s, S&P 등 신용평가사의 기업 신용등급을 확인할 수 있다. 현금 항목 분석을 위해 다음 지표를 체크하라:

  • 매출채권회전일수 = 순매출 ÷ 매출채권 ÷ 365
  • 재고자산회전일수 = 매출원가 ÷ 재고 ÷ 365

5. 투자본수익률(ROIC, Return on Invested Capital)을 평가한다

투하자본수익률은 기업이 재투자한 자본 대비 얼마만큼의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보여준다.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할수록 높은 ROIC를 기록한다. 산업별로 ROIC 수준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 ROIC 5% 미만: 저품질 기업
  • ROIC 10% 이상: 고품질 기업

워런 버핏은 명시적으로 ROIC 계산을 언급하지는 않지만, 자본 대비 높은 수익을 창출하는 기업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한 기준 중 하나라고 강조한다.

6. 기업이 안정적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가?

안정적인 사업 흐름에서 꾸준히 수익을 창출하는 기업은 가끔씩 대박을 터뜨리는 기업보다 가치평가가 훨씬 쉽다.

예를 들어 아마존 프라임처럼 예측 가능한 구독 기반 수익을 창출하는 아마존은 향후 이익을 예상하기가 쉬워 기업 가치를 평가하기 용이하다. 또한 지속적으로 새로운 제품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압박과 의존도가 낮다.

애플처럼 몇 년마다 아이폰을 업데이트하며 대부분의 수익을 단일 제품에서 꾸준히 만들어내는 기업도 마찬가지로 안정적인 이익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기업 수익 구조의 특성은 10-K 보고서의 경영진 논의 섹션에서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7. 자기자본이익률(ROE, Return on Equity)은 어떤가?

기업이 주주 자본으로 얼마나 효율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지 측정하는 ROE 또한 핵심 지표다. 버핏이 선호하는 지표 중 하나로, 기업의 자본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8. 재무 구조가 보수적인가?

재무상태표 분석에서 산출한 부채비율을 활용하면 기업이 보유한 부채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 분석을 통해 기업이 주주 가치를 창출하는 방식과 재무 구조의 건전성을 확인할 수 있다.

기업이 배당금 지급이나 자사주 매입을 부채로 충당한다면 이는 경고 신호다. 결국 시간이 지나면 유동성이 소진되고 재무적 취약성이 드러날 수밖에 없다.

10-K 보고서의 주석을 확인하면 기업이 보유한 부채의 종류와 만기 일정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향후 현금흐름과 사업 재투자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판단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9. 시장 평균 이상의 이익 성장을 기록했는가?

장기적으로 시장 평균을 웃도는 이익 성장을 이어온 기업을 찾는다. 매출 성장과 함께 비용을 통제해 장기적인 이익 증가를 보여야 한다. 또한 금융위기(2007~2009년) 같은 불황기에도 기업이 어떤 성과를 냈는지 살펴보면 기업의 내구성을 평가할 수 있다.

 

Reference

Stock buying checklist: Essential part of evaluation stocks (Example Checklist). Dave Ahern. August 30, 2022


주식 매수 체크리스트: 비즈니스 기둥 보기

2025.08.02 - [투자] - 주식 매수 체크리스트: 비즈니스 기둥(Business Pillar)

 

주식 매수 체크리스트: 비즈니스 기둥(Business Pillar)

들어가며주식 매수 체크리스트는 모든 투자자에게 필수적인 도구이며,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제대로 활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체크리스트를 사용하는 것은 실수로부터 배우고, 경험과 경력

blueorbit.tistory.com

주식 매수 체크리스트: 경영자 기둥 보기

2025.08.02 - [투자] - 주식 매수 체크리스트: 경영진 기둥(Management Pillar)

 

주식 매수 체크리스트: 경영진 기둥(Management Pillar)

지난 글에서는 주식 매수 체크리스트의 네 가지 기둥 중 비즈니스 기둥(Business Pillar)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경영진 기둥(Manamgement Pillar)에 대해 알아본다. 경영진을 평가하는 것은 숫

blueorbit.tistory.com

주식 매수 체크리스트: 가치평가 기둥 보기

2025.08.03 - [투자] - 주식 매수 체크리스트: 가치평가 기둥 (Valuation Pillar)

 

주식 매수 체크리스트: 가치평가 기둥 (Valuation Pillar)

이번 글에서는 주식 매수 체크리스트의 네 가지 기둥 중 마지막인 가치평가 기둥(Valuation Pillar)에 대해 알아보자.Valuation Pillar (가치평가 기둥)1. 가치투자 지표 또는 비율 검증아래는 저자가 직접

blueorbi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