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치평가

근본적 위험(fundamental risk)과 가격 위험(price risk)의 차이

by Blueorbit 2025. 11. 6.

C1.1. 근본적 위험과 가격 위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man

 

Fundamental Risk (근본적 위험)

근본적 위험이란 기업의 내재가치 자체가 변할 위험이다.

즉, 회사의 미래 현금흐름이나 수익성, 산업 경쟁 구조, 경영진의 자본배분 능력 등 기업의 본질적 요소가 변함으로써 가치가 하락할 수 있는 위험을 말한다.

이건 단순히 시장가격이 출렁이는 게 아니라, 기업의 경제적 엔진이 망가지는 위험이다.

 

예를 들어, 기술 변화로 제품 경쟁력이 떨어지거나, 경영진의 의사결정 실패로 자산이 손상되거나, 영업이익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런 위험은 시장심리가 아니라 기업의 구조적 문제로 인해 발생하므로 장기적으로 가치에 직접적인 손실을 가져온다.
따라서 근본적 위험은 재무제표 분석, 산업 분석, 경쟁력 평가 등을 통해 미리 파악하고 피해야 하는 위험이다.

 

Price Risk (가격 위험)

가격 위험은 시장가격이 일시적으로 내재가치에서 벗어나는 위험이다.

즉, 기업의 본질은 변하지 않았지만, 시장의 심리나 외부 변수로 인해 주가가 크게 하락하거나 상승하는 현상을 뜻한다.
이 위험은 투자자의 심리와 유동성, 거시환경, 금리 등 외생적 요인에서 비롯된다.

 

예를 들어, 단기 경기 둔화나 뉴스 이벤트로 인해 일시적으로 주가가 급락했지만 기업의 수익성과 경쟁력이 그대로라면, 이는 가격 위험이다.

 

이건 장기 투자자 입장에서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워런 버핏이 말한 “Mr. Market의 기분 변화”가 바로 이런 상황이다 — 시장이 공포에 빠져 주가가 과도하게 떨어질 때, 현명한 투자자는 저평가된 자산을 매수한다.

 

가치 투자자(fundamental investors)는 높은 가격에 매수(또는 낮은 가격에 매도)하는 것을 또 다른 위험 원인으로 본다.
그들은 가격이 반드시 효율적으로만 결정되지 않는다고 본다. 
그들은 경영 활동의 고유 위험(inherent fundamental risk)뿐 아니라 가격 위험(price risk) 또한 생각한다.
그래서 시장가격에 대응하기 위해 분석을 수행한다.
- 재무제표 분석과 가치평가.  p.5.

 

비교 정리

구분 Fundamental Risk (근본적 위험) Price Risk (가격 위험)
정의 기업의 내재가치 자체가 변하는 위험 시장가격이 내재가치에서 일시적으로 벗어나는 위험
원인 영업·산업·재무구조·경영 실패 등 본질적 변화 시장심리, 금리, 유동성, 뉴스 등 외생 요인
기간 장기적, 지속적 단기적, 일시적
예측 가능성 재무제표·산업 분석으로 관리 가능 예측 거의 불가능
투자 전략 반드시 회피해야 함 기회로 활용 가능

 

실제 사례

코카콜라(Coca-Cola)

1998년 아시아 외환위기 당시, 코카콜라의 매출이 일시적으로 줄고 환율 요인으로 이익이 감소하면서 주가가 크게 떨어졌다.

하지만 브랜드 가치, 유통망, 수익모델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즉, 내재가치는 변하지 않았고 단지 시장이 과도하게 반응했을 뿐이다.

이건 가격 위험이었고, 결과적으로 주가는 몇 년 후 제자리를 찾았다.

 

노키아(Nokia)

2007년까지 세계 휴대폰 시장의 절대 강자였지만, 스마트폰 전환에 뒤처지며 제품 경쟁력과 수익성이 급락했다.
이건 시장의 오해가 아니라 기업의 본질적 경쟁력 붕괴, 즉 근본적 위험이었다.
회사의 내재가치가 실제로 훼손된 사례다.

 

정리

근본적 위험(Fundamental Risk): 기업이 실제로 망가지는 위험 → 피해야 한다.

가격 위험(Price Risk): 시장이 일시적으로 오판하는 위험 → 활용할 수 있다.

 

진짜 투자자는 가격 위험을 두려워하지 않고, 기초적 위험을 감별해 내는 사람이다.

결국 “가치평가를 통해 기업의 본질적 위험을 구분하고, 시장의 오판을 기회로 삼는 능력”이 투자자의 핵심 경쟁력이다.


알파 기술과 베타 기술의 차이 보기

2025.11.06 - [가치평가] - Alpha technology와 beta technology

 

Alpha technology와 beta technology

C1.2. 알파 기술(alpha technology)과 베타 기술(beta technology)의 차이는 무엇인가? -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man 알파 기술(Alpha Technology)알파 기술은 가치와 가격의 차이를

blueorbit.tistory.com


주식의 장기 투자와 수익률 보기

2025.11.06 - [가치평가] - 주식의 장기 투자와 수익률

 

주식의 장기 투자와 수익률

C1.3. “장기적으로 주식의 수익률은 채권보다 항상 높으므로, 무조건 장기 보유하라.”라는 주장에 대해 비판하시오.-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security valuation. 5e. Stephen H. Penman 주식이 채권보다

blueorbit.tistory.com

반응형